2025년 11월

Quick Menu

BOX OFFICE

주간 박스오피스

11월 3주차 위클리 박스오피스

글 _ 박경희(한경매거진앤북 기자)

2025-11-25

한국영화가 주춤하는 상황에서 <극장판 체인소 맨: 레제편> <극장판 귀멸의 칼날: 무한성편> 등 일본 애니메이션 영화들이 장기 레이스를 펼치며 국내 박스오피스를 점령하고 있다. 이들의 강력한 대항마로 글로벌 흥행 성적을 올린 할리우드 영화들의 속편이 연이어 출격하고 있어 연말까지 국내 박스오피스 지각변동이 예상된다.

11월 셋째 주 극장가에 찾아온 <위키드: 포 굿>이 박스오피스 1위에 올랐다. <위키드: 포 굿>은 소중한 친구에서 사악한 마녀와 착한 마녀로 대척점에 서게 된 엘파바(신시아 에리보), 글린다(아리아나 그란데)의 거대한 여정을 그린다. 개봉 첫 주 54만 명의 관객을 모으며 56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브로드웨이 뮤지컬을 원작으로 해 지난해 개봉한 <위키드>로 오스카 여우주연상과 여우조연상 후보에 오른 신시아 에리보, 아리아나 그란데가 속편 <위키드: 포 굿>에서 또 한 번 열연을 펼친다. 1편 ‘Defying Gravity’에 이은 새로운 오리지널 주제곡들도 놓치지 말아야 할 포인트. <위키드: 포 굿>이 220만 관객을 모은 전편을 넘을 수 있을지 주목할 필요가 있다.

<나우 유 씨 미 3>는 지난주 1위에서 한 계단 내려와 2위를 차지했다. 나쁜 놈들 잡는 마술사기단 호스맨이 더러운 돈의 출처인 하트 다이아몬드를 훔치기 위해 목숨을 건 지상 최고의 마술쇼를 펼친다. <나우 유 씨 미> 시리즈의 3번째 영화로, 이번 주 43만 명의 관객을 모으며 41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누적 관객 수는 101만 명이다.

3위는 개봉 후 두 달 넘게 흥행을 이어가고 있는 <극장판 체인소 맨: 레제편>이다. 의문의 소녀 레제와의 만남 이후 혼란에 빠진 체인소 맨의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이번 주 12만 명의 관객과 12억 원의 매출, 누적 관객 수 328만 명을 기록했다.

4위는 일본에서 실사 영화로는 23년 만에 천만 관객을 모으며 일본 실사영화 역대 2위를 기록한 재일동포3세 이상일 감독의 <국보>가 차지했다. 가부키 세계의 ‘인간 국보’가 되고 싶은 키쿠오(요시자와 료)의 일생을 다루는 영화로, 개봉 첫 주 5만 4천 명의 관객을 모으며 5억 1천만 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5위는 SF 액션 어드벤처 영화 <프레데터: 죽음의 땅>이다. 생명을 지닌 모든 것을 위협하는 ‘죽음의 땅’ 최상위 포식자 칼리스크를 사냥하기 위한 프레데터 덱(디미트리 슈스터-콜로아마탕기)과 휴머노이드 티아(엘르 패닝)의 생명을 건 공조와 사투를 그린다. 11월 3주차에 5만 1천 명을 동원하며 5억 원의 매출, 누적 관객 수 41만 명을 기록했다.

11월 3주차 흥행 TOP10

위키드: 포 굿

개봉일 2025-11-19
매출액 56억 원
관객수 54만 명

나우 유 씨 미 3

개봉일 2025-11-12
매출액 41억 원
관객수 12만 명

극장판 체인소 맨: 레제편

개봉일 2025-09-24
매출액 12억 원
관객수 12만 명

국보

개봉일 2025-11-19
매출액 5억 원
관객수 5만 명

프레데터: 죽음의 땅

개봉일 2025-11-05
매출액 5억 원
관객수 5만 명

퍼스트 라이드

개봉일 2025-10-29
매출액 3억 원
관객수 4만 명

나혼자 프린스

개봉일 2025-11-19
매출액 3억 원
관객수 3만 명

세계의 주인

개봉일 2025-10-22
매출액 2억 원
관객수 2만 명

극장판 귀멸의 칼날: 무한성편

개봉일 2025-08-22
매출액 2억 원
관객수 2만 명

8번 출구

개봉일 2025-10-22
매출액 1억 원
관객수 1만 명

11월 3주차 독립·예술영화 박스오피스는 한국과 일본 독립영화의 대결 구도가 눈에 띈다. 이상일 감독의 <국보>가 일본에서의 인기에 힘입어, 국내 개봉과 동시에 3주 연속 1위를 기록한 <8번 출구>를 밀어냈다. 그 사이에 윤가은 감독의 <세계의 주인>은 제 자리를 지키며 장기 흥행 조짐을 보이고 있다.

1위에 오른 <국보>는 3시간의 러닝타임에도 불구하고 관객들의 지지를 받고 있다. 재일동포 3세 이상일 감독 연출, 가부키에 대한 궁금증, 일본 역대 실사영화 박스오피스 2위 등이 관객에게 어필된 것으로 보인다. 개봉과 동시에 5만 4천 명의 관객을 모으며 5억 1천만 원의 매출을 올렸다.

<세계의 주인>은 지난주와 같은 2위를 유지했다. 교내 서명운동을 거부한 여고생 주인(서수빈)이 낯선 쪽지를 받으며 벌어지는 이야기로, 이번 주 관객 수 2만 명, 매출은 1억 9천5백만 원을 더했고 누적 관객 수는 13만 명이 됐다.

3주 연속 1위였던 <8번 출구>는 3위로 내려왔다. 하지만 올해 국내 박스오피스 일본 실사영화 흥행 1위를 기록한 만큼 장기 흥행 중이다. 이번 주 1만 4천 명이 관람해 1억 1천만 원의 매출을 올렸다. 누적 관객 수는 45만 명이다.

4위는 지난주 3위에서 한 계단 내려온 <꼬마돼지 베이브와 타피티>다. 혼자 있고 싶은 미어캣 타피티와 가족을 만들고 싶은 꼬마돼지 베이브가 사막에서 해독제를 찾기 위한 여정을 그린 애니메이션으로, 5천 명이 관람해 4천1백만 원의 매출을 올렸다.

5위는 <통잠>이다. 수 년째 이어온 난임 시술의 반복된 실패로 삶이 흔들리기 시작한 지연(김시은)과 도진(이도진)의 이야기를 담았다. 지난해 전주국제영화제 한국경쟁 부문 초청작으로, 개봉 첫 주 3천 명의 관객을 모으고, 매출액 1천8백만 원을 기록했다.

11월 3주차 독립·예술영화 흥행 TOP10

국보

개봉일 2025-11-19
매출액 509백만 원
관객수 54천 명

세계의 주인

개봉일 2025-10-22
매출액 195백만 원
관객수 20천 명

8번 출구

개봉일 2025-10-22
매출액 114백만 원
관객수 14천 명

꼬마돼지 베이브와 타피티

개봉일 2025-11-13
매출액 41백만 원
관객수 5천 명

통잠

개봉일 2025-11-19
매출액 18백만 원
관객수 3천 명

사람과 고기

개봉일 2025-10-07
매출액 24백만 원
관객수 3천 명

너와 나의 5분

개봉일 2025-11-05
매출액 23백만 원
관객수 2천 명

맨홀

개봉일 2025-11-19
매출액 20백만 원
관객수 2천 명

뱀파이어 헌터 D

개봉일 2025-11-12
매출액 19백만 원
관객수 2천 명

왼손잡이 소녀

개봉일 2025-11-12
매출액 16백만 원
관객수 2천 명

2025년 11월 3주차 극장가는 전주보다 전체 관객 수 11만 명이 증가해 145만 명, 매출도 13억 원 늘어 144억 원을 기록했다. 개봉작 수는 총 12편으로, 전주 대비 4편이 줄었지만 오히려 관객 수와 매출액은 늘어난 결과를 보였다. <위키드: 포 굿>과 <국보> 등 외화 신작들의 활약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한국영화는 지난주보다 3편 줄어든 총 6편이 개봉해 15만 명의 관객을 동원하며 15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점유율은 10.3%로, 전주 대비 6.7%p 감소했다. 10월 4주차와 비교하면 점유율은 무려 30.1%p 떨어졌다.

외국영화는 지난주 7편 개봉에서 한 편 줄어 이번 주 6편 개봉했지만 130만 명의 관객과 129억 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전주 대비 각각 19만 명, 21억이 늘었다. 점유율도 89.7%로, 전주보다 6.7%p 증가했고, 90% 돌파를 목전에 두고 있다.

11월 26일 디즈니 애니메이션 <주토피아 2>가 극장에 상륙한다. 2016년 개봉한 전편은 471만 관객을 동원하며 흥행 성공했다. 11월 4주차 박스오피스에선 할리우드 인기 영화 후속편 <위키드: 포 굿>과 <주토피아 2>가 1위 싸움을 치열하게 펼치고, 극장을 찾는 관객과 외화의 점유율도 11월 3주차보다 늘어날 것으로 예상한다.

최근 4주간 극장 매출 및 한국영화 점유율

기간 전체 한국 외국
개봉편수 매출액(억 원) 관객수(만 명) 개봉편수 매출액 관객수 점유율 개봉편수 매출액 관객수 점유율
11월 3주차 121441456151510.3%612913089.7%
11월 2주차 161311349222317.0%710811183.0%
11월 1주차 3610610719363735.0%17716965.0%
10월 4주차 2812412713555644.4%15697055.6%
박스오피스 위클리박스오피스 주간흥행 11월3주차 영화순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