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는 죽지 않는다. 단지 다른 형태로 변화할 뿐이다.”
- 마틴 스코세이지 감독
올해로 82세, 거장 마틴 스코세이지가 지난해 베를린국제영화제에서 명예황금곰상을 받으며 강조한 말이다.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를 위시한 플랫폼의 다변화와 인공지능(AI) 기술의 발달로 영화의 미래를 걱정하는 시대에 그의 대답은 이미 숱한 실증이 있기에 가능한 말 아니었을까.
여기서 11월 5일 국내 개봉한 <부고니아>를 떠올릴 수 있다. 무려 22년 전, 당시 신인이던 장준환 감독의 장편 데뷔작 <지구를 지켜라!>(2003)를 리메이크한 해당 영화는 지난 8월 82회 베니스국제영화제 경쟁 부문에 진출해 세계 관객 앞에 처음 공개된 바 있다. ‘소의 사체에서 벌이 자연 발생한다고 믿으며 행해진 의식’을 뜻하는 이 단어가 그리스어이고, 마침 그리스 출신 거장 요르고스 란티모스가 연출을 맡았다는 건 기막힌 우연일 것이다.
원작에선 남녀 커플 이병구(신하균)와 순이(황정민)가 외계인임을 숨긴 채 지구를 점령하러 왔다는 이유로 강 사장(백윤식)을 납치한다. <부고니아>는 사촌지간의 두 남성 테디(제시 플레먼스)와 도니(에이든 델비스)가 유망한 바이오 회사 여성 대표 미셸(엠마 스톤)을 감금해 그녀가 외계인임을 밝히려 한다는 설정으로 바뀌었다. 올해 베니스국제영화제 공개 직후 엠마 스톤이 여우주연상 후보로 언급되기도 했고, 현대 사회의 음모론을 기이한 묵시록처럼 묘사했다는 호평이 있었다. 현재는 86%로 다소 떨어지긴 했으나, 지난 10월 24일 북미 개봉 직전까지 로튼토마토 신선도지수 90% 이상을 유지하고 있었다.
장준환 감독의 <지구를 지켜라!>가
할리우드에서 <부고니아>로 새롭게 탄생했다(제공=CJ ENM)
CJ ENM과 아리 애스터의 조우
원작 영화를 투자·배급했던 CJ ENM은 2018년부터 리메이크 프로젝트를 준비했다. 2003년 개봉 당시엔 전국 기준 7만 3천 명의 관객 동원으로 흥행에 실패했지만, 당시 국내 유수의 영화제에서 감독에게 신인상을 안겼던 비운의 작품을 할리우드 시스템으로 재탄생하게 하려는 야심 찬 계획은 7년이 지나서야 빛을 볼 수 있었다.
10월 24일 북미 17개 극장에서 우선 개봉한 <부고니아>는 11월 첫째 주 기준 북미에서 2천43개의 상영관을 확보했다. 개봉일 스코어는 70만 9천848달러. 상영관당 평균 수익으로 환산하면 4만 1천755달러로 올해 북미에서 개봉한 영화 중 5위를 기록했다(박스오피스 모조 기준). 2019년 10월 19일 북미에서 개봉했던 <기생충>이 단 3개 극장으로 시작해, 5주 차에 604개까지 확대하며 오스카(미국 아카데미 시상식) 레이스를 이어간 것과 같은 전략이다. 실제로 현지 언론에서 <부고니아> 출연 배우들과 감독을 오스카상 주요 후보로 언급하며, 기대감을 돋우고 있기도 하다.
<지구를 지켜라!> 리메이크는 원래 미국 기준 3천만 달러(약 430억 원) 미만의 저예산 프로젝트였다. 원작자인 장준환 감독이 연출을 맡는다는 전제로 2018년 초부터 사전 기획이 되었는데, 아리 애스터 감독이 프로듀서로 참여하며 급물살을 탔다. 특유의 기괴함, 오컬트 요소를 가득 반영한 <유전>(2018), <미드소마>(2019)로 널리 알려진 아리 애스터는 한국영화에 깊은 애정을 공공연히 드러내 왔다. <미드소마>가 <지구를 지켜라!>에서 영향을 받았다는 것도 알려진 사실이다.
CJ ENM과 아리 애스터의 만남은 로스앤젤레스 카운티 미술관(LACMA)에서 2018년 8월경 진행된 특별전 덕이다. 황동혁 감독의 <남한산성>(2017)과 장준환 감독의 <지구를 지켜라!>가 상영 프로그램에 포함되었고, 후자를 아리 애스터 감독이 직접 소개하는 행사가 있었던 것. 이 소식을 접한 CJ ENM 관계자가 협업을 제안했고, 그가 수락하면서 인연이 시작되었다. 자연스럽게 아리 애스터와 오래 일해 온 덴마크 출신 제작자 라스 크누센이 합류했고, HBO 드라마 <석세션> 일부를 집필한 윌 트레이시가 각본을 맡게 된다.
2020년 5월경 아리 애스터와 라스 크누센은 공식 성명서를 통해 “젊음의 자유분방함, 긴장감 넘치는 서스펜스, 황당한 슬랩스틱, 음울한 공포, 그리고 깊이 느껴지는 비극적 감정 사이를 오가는 <지구를 지켜라!>는 한국에서 나온 가장 주목할 만한 영화 중 하나”라며 “장준환 감독이 이 상징적인 작품을 다시 다루고, 미국에 가져와 오늘날 세상의 혼란을 반영하도록 업데이트하는 데 열정적이라는 소식을 들었을 때 이 일에 참여할 기회를 바로 잡았다. CJ ENM, 훌륭한 장(준환) 감독과 함께하게 되어 영광”이라고 밝힌 바 있다.
올해 베니스국제영화제 경쟁 부문에 초청된 <부고니아>.
왼쪽부터 엠마 스톤, 요르고스 란티모스 감독, 에이든 델비스,
제시 플레먼스
(제공=CJ ENM, 포커스 피처스/프레멘틀)
요르고스 란티모스, <부고니아>를 완성하다
요르고스 란티모스 감독이 등장한 건 장준환 감독이 건강상 이유로 하차하면서다. <더 랍스터>(2015), <킬링 디어>(2018)로 칸국제영화제 심사위원상과 각본상을 받으며 거장 반열에 오른 요르고스 란티모스 감독은 아리 애스터 제작의 <부고니아>를 마다할 이유가 없었다. 이에 더해 윌 트레이시가 <석세션>으로 에미상을 받으며 해당 시나리오가 업계에 널리 알려지기 시작했다.
이 프로젝트를 주도해 온 고경범 CJ ENM 상무에 따르면 현재의 제작진이 합류하고 윌 트레이시가 에미상으로 급부상하며 할리우드의 내로라하는 여성 배우들이 먼저 출연 의사를 보여 왔다고 한다. 결국 오스카 여우주연상 2관왕에 빛나는 엠마 스톤이 공동 제작자이자 주연으로 낙점, 칸국제영화제 남우주연상을 받은 제시 플레먼스 등이 합류하며 중규모 예산 프로젝트로 확장되었다.
요르고스 란티모스 감독 체제가 되며 자연스럽게 엠마 스톤과 제시 플레먼스가 주연으로 언급되는 과정이 있었다. 엠마 스톤은 감독의 전작 <더 페이버릿: 여왕의 여자>(2019), <가여운 것들>(2023)로 호흡을 맞췄고, 제시 플레먼스 또한 <카인즈 오브 카인드니스>(2024)에 출연하며 이미 서로의 세계를 공유한 바 있다. 특히 제시 플레먼스의 경우 외계인 신봉론자 테디 역을 위해 실제로 외계인의 존재를 믿고 있는 자신의 친구를 여러 차례 만나 외계인의 역사나 관련 이론을 전수받았다고 한다.
원작에선 순이 캐릭터로, 주인공 병구의 납치극을 돕는 캐릭터의 발탁은 좀 더 극적이었다. <부고니아>에서는 테디의 사촌으로 소개되는 도니 역할로, 실제 자폐 스펙트럼 증상을 가지고 있는 에이든 델비스가 캐스팅된 것. CJ ENM 측에 따르면 에이든 델비스는 일종의 길거리 캐스팅으로 발견된 경우였다. 감독은 실제로 비장애인이 장애인처럼 연기하길 원치 않아 했고, 당시 17세였던 에이든 델비스는 교내 게시판에 붙은 공고를 보고 영상을 찍어 보냈다가 발탁되었다. 고경범 상무는 “설정상 장애인이 비장애인인 척 연기했어야 했는데 에이든 델비스의 연기를 보고 요르고스 란티모스 감독이 여러 차례 눈물을 흘린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올해 베니스국제영화제에서 요르고스 란티모스 감독은 한국 및 해외 매체들과 한 공식 인터뷰에서 “인간의 본성이 무엇인지, 우리가 어디로 가는지에 대한 경종을 울리는 것과 같다”며 “영화를 보다 보면 누굴 응원해야 할지 혼란스러울 것이다. 그게 현대 사회에 존재하는 음모론과도 같다”고 답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음악 또한 독특하게 사용했는데, 요르고스 란티모스 감독과 <가여운 것들>을 함께한 음악감독 저스킨 펜드릭스에게 시나리오를 보여주지 않고 몇 가지 단어만 알린 채 작곡하도록 한 것. 장면에 음악이 녹아드는 게 아니라 각 장면과 음악이 충돌하도록 설계한 셈이다. 즉, 음악 사용에 있어서도 기존 영화들과 차이점이 있었다.
<카인즈 오브 카인드니스>에 이어 <부고니아>로 다시 만난
요르고스 란티모스 감독과 엠마 스톤, 제시 플레먼스
(제공=CJ ENM)
<부고니아>, 할리우드 진출의 새로운 모델
사실 <부고니아>의 등장은 당시 할리우드 영화 산업의 변화기와도 맞물려 있다. 고경범 상무는 “2018년 당시 미국 스튜디오 상황은 로맨틱 코미디 장르가 퇴장하고 그 자리를 마블 영화 같은 대형 기획 영화와 A24, 네온 같은 소규모 제작사들이 만든 <유전>, <문라이트>(2016) 같은 영화가 채우고 있었다”며 “후자 같은 영화들이 오스카에서 상을 받는 걸 보며 <지구를 지켜라!>의 독창성과 기발함으로 승부수를 던질 수 있겠다 싶었다”고 회고했다.
영화 <살인의 추억> <올드보이> <실미도> <장화, 홍련> 등 당대 명작이 쏟아지며 한국영화 르네상스로 기억되는 2003년. 그 틈에서 <지구를 지켜라!> 같은 B급 SF 소동극은 너무 빨리 도착한 불청객 취급을 받았던 게 사실이었다. 결국 <부고니아>는 담당자의 명민한 산업 동향 파악과 CJ ENM의 추진력, 여기에 다소의 운이 더해진 결과물인 셈이다.
물론 CJ ENM의 할리우드 진출 사례는 <부고니아>가 처음이 아니다. <어거스트 러쉬>(2007), <설국열차>(2013) 등을 떠올려볼 수 있다. 멀게는 CJ ENM이 1995년경 드림웍스와 파트너십을 맺은 이후 2000년도 초반부터 해외 진출 초석을 다져 온 일을 꼽을 수도 있다. 하지만 분명한 차별점이 존재한다. 고경범 상무는 “<부고니아>는 CJ ENM이 초기 기획 단계부터 주도해서 시나리오를 개발하고 이를 중급 이상의 예산으로 메이저 스튜디오(유니버설 스튜디오 산하 포커스 피처스 - 기자 주)를 통해 월드와이드 배급을 한 첫 사례라고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69회 런던국제영화제에 참석한 <부고니아> 팀.
여러 영화제에 초청된 <부고니아>는 내년 미국 아카데미 시상식 후보 지명이 유력하다
(제공=CJ ENM, 포커스 피처스/프레멘틀)
정리하면 그간 CJ ENM의 할리우드 진출은 리메이크 판권만 판매하거나 <어거스트 러쉬>처럼 기존 할리우드 프로젝트에 국내 배급권 확보를 위한 부분 투자, 혹은 <설국열차>처럼 투자배급사로서 해외에 직접 판매하는 경우가 주였다. <부고니아>는 직접 제작 주체가 되어 할리우드 제작 및 유통 시스템에 접근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원작 <지구를 지켜라!> 당시 제작사 싸이더스 소속 PD였던 김선아 단국대 공연영화학부 교수는 “당시엔 CJ ENM도 선뜻 투자하기에 주저했던 걸로 기억한다. 돌이켜보면 한국영화의 르네상스가 있었던 건 이런 영화들을 과감하게 만들어서가 아닌가 싶다”며 “이번 <부고니아> 사례는 원작의 콘셉트가 좋아서이기도 하겠지만, 한국영화의 팬덤 현상이 해외에서 오래 축적된 결과이기도 한 것 같다”고 말했다.
고경범 상무는 “이런 합작 형태가 처음이다 보니 성공한 모델이 없는 상황에서 맨땅에 부딪혀가며 도전해야 했고 시장 변화가 만들어내는 기회를 포착해야 했다”며 “시장이 안정적이면 그 틈을 비집고 들어가면 되지만, 기회를 만들어내야 했기에 기존 로컬 사업자들과 파트너십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걸 깨닫고 있다. 시행착오를 줄이기 위해선 아리 애스터 같은 현지 파트너십을 구축하는 게 필수”라고 귀띔했다.
<부고니아>는 CJ ENM이 리메이크 판권 판매, 할리우드 프로젝트 국내 배급권 확보 등의
할리우드 진출 방식에서 더 나아가 직접 제작 주체가 된 첫 사례다(제공=CJ ENM)
<부고니아>를 기점으로 최근 한국영화, 영화인들의 할리우드 진출 사례가 부쩍 가시화되고 있다. 김지운 감독이 메가폰을 잡은 <더 홀>, 배우 마동석이 제작자이자 주연으로 나선 <피그 빌리지>, 밀라 요보비치가 액션 연기를 소화한 <프로텍터> 등이 대표적이다.
<더 홀>은 편혜영 작가의 소설 <홀>을 미국 에이전트가 직접 판권을 구매한 뒤 김지운 감독에게 연출을 제안하면서 영화화가 성사된 경우다. 미국인 교수가 교통사고로 아내를 잃고 장모의 간병을 받으면서 결혼생활의 진실과 마주하는 심리 스릴러 장르로, 스릴러영화 <디 액시덴탈 겟어웨이 드라이버>(2023)를 쓴 크리스토퍼 첸 작가가 초고를 담당했다. 출연 배우는 HBO 드라마 <화이트 로투스>로 알려진 테오 제임스, 그리고 정호연, 염혜란이다.
최근엔 아마존 MGM 산하 오라이온 픽처스가 전 세계 배급을 담당한 사실이 알려지며 <더 홀>이 국제 프로젝트임을 확인한 바 있다. 제작 주체는 총 세 곳으로 TV 드라마 <미스터 로봇> 제작사인 에스마일 코퍼레이션, 영화 <맨체스터 바이 더 씨>(2016)를 제작한 K 피리어드 미디어, 그리고 한국의 앤솔로지스튜디오다. 제작비 규모는 약 1천200만 달러로 미국 기준 저예산 영화에 해당한다. 이로써 김지운 감독은 <라스트 스탠드>(2013)에 이어 두 번째로 할리우드와 작업하게 되었다.
최재원 앤솔로지스튜디오 대표는 “원작 판권을 산 에스마일 코퍼레이션이 초기에 개발이 쉽지 않았던 것 같다”며 “초고를 우리가 각색하면서 주인공의 아내를 한국 사람으로 바꾸는 데에 동의를 받았다. 기존 다른 합작영화라고 하면 한국이 일종의 외주 개념으로 참여하는 게 대부분이었는데 <더 홀>은 한국 스태프와 배우들이 주도적으로 참여한 실질적인 공동제작에 해당한다”고 밝혔다. <더 홀>은 지난 3월 중순 촬영을 시작해서 6월 1차 촬영이 끝난 상태로 11월 중 나머지 2차 촬영을 진행한다.
한편 <프로텍터>는 한국에서 직접 지식재산권(IP)을 개발해 할리우드에 역제안한 경우였다. 각본을 집필한 문봉석 작가의 아낙시온 스튜디오, 매니지먼트 및 콘텐츠 개발사인 블러썸 엔터테인먼트, 그리고 올바른 컴퍼니 등 세 개의 한국 회사가 공동 기획·개발을 했다. <람보: 라스트 워>(2019)의 애드리언 그린버그 감독이 연출자로 나선 <프로텍터>는 지난 2월 촬영을 마친 뒤 2026년 2월 미국 개봉을 목표로 후반 작업 중이다.
<프로텍터>(왼쪽 사진)로 올해 부산국제영화제를 찾은
애드리언 그린버그 감독과 밀라 요보비치
(제공=부산국제영화제)
주방옥 블러썸 엔터테인먼트 대표는 “코로나19 팬데믹 시기에 국내 시장이 너무 어려워서 평소 할리우드 쪽과 네트워크를 쌓아 온 문봉석 작가와 의기투합해 그들을 설득하고 다녔다”며 “IP 자체를 뺏기거나 외주제작화해 버리는 넷플릭스 사례가 아닌 우리 창작자들이 주도할 수 있는 합작 사례를 만들고 싶었다”고 말했다. 주 대표는 “한화로 250억 원에서 300억 원 규모의 저예산으로 시작할 수 있는 작품을 꾸준히 개발하는 중인데, 어려운 한국영화 산업에서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본다”고 전망했다. 현재 이 세 개의 회사는 밀라 요보비치의 남편 폴 W.S. 앤더슨 감독의 신작을 비롯, 포켓몬스터 총괄 프로듀서가 참여하는 애니메이션 등 여러 해외 합작 영화를 준비 중이다.
<피그 빌리지> 또한 한국영화 산업 침체기와 맞물려 자구책을 마련한 경우로, <프로텍터>와 궤를 같이한다. 배우 마동석이 속한 빅펀치픽쳐스와 노바필름, B&C콘텐츠 등 국내 세 회사가 합작한 작품으로 프로 복서와 서로 다른 목적이 있는 범죄자들이 미국과 멕시코 접경지대에 모이면서 벌어지는 이야길 그린다. <범죄도시> 시리즈의 이상용 감독이 연출을, 차우진 작가가 각본을 맡았다. 여기에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시리즈에서 욘두 역을 맡은 배우 마이클 루커를 비롯, 콜린 우델, 리제트 올리베라, 알리 안, 아브라함 푸풀라 등 해외 배우들이 대거 출연했다.
빅펀치픽쳐스 관계자는 “한국영화 산업의 장기 침체에서 새로운 돌파구가 필요하다고 느꼈다”며 “한국 자본과 시스템으로 제작했기에 큰 예산이 드는 글로벌 영화보다 합리적인 예산으로 운영할 수 있었다. 이 관점에서 한국영화 제작이 새롭게 확장될 여지도 있다고 본다”는 의견을 밝혔다.
국내 회사 빅펀치픽쳐스, 노바필름, B&C콘텐츠가 합작한
마동석 주연의
<피그 빌리지>(제공=빅펀치픽쳐스)
기존 IP를 주도적으로 할리우드 시스템에 이식시키든, 직접 개발한 IP를 가지고 나가 역제안을 하든, 또는 외주 수주가 아닌 할리우드와 동등하게 공동제작으로 나서든 위의 사례들로 한국 영화인들의 위상이 새삼 달라졌음은 분명해 보인다. 주방옥 대표는 “<케이팝 데몬 헌터스>도 있고, 봉준호·박찬욱 감독님 등 한국 창작자분들이 이미 쌓아 놓은 게 있어서 확실히 다들 협업에 열려 있다”며 우호적인 현재 분위기를 언급하기도 했다.
하지만 과제가 여전히 남아 있다. 미국 할리우드 또한 주류 시장이 크게 흔들리고 있고, 전 세계적으로 플랫폼 환경이 급변하는 중이기 때문이다. 고경범 상무는 “폴 토마스 앤더슨의 <원 배틀 애프터 어나더>도 호평임에도 손실을 보는 중이라 그런 대형 프로젝트는 지속 가능한 모델이 아니다. 이 틈에서 한국 창작자들에게 상대적인 기회는 열려 있다고 본다”며 “동시에 한국 사업자로서 할리우드든 다른 나라이든 해외 협력 시 A부터 Z까지 주도하고 문제를 해결하긴 어렵다. 주도권을 가져가더라도 기능적인 부분을 택해야 할 것이다. 아직은 (이런 협업 모델이) 시작 단계라 경험치 축적이 더 필요하다”는 의견을 전했다.
한국영화
부고니아
지구를지켜라!
요르고스란티모스감독
엠마스톤
제시플레먼스
장준환감독
CJENM
리메이크
프로텍터
더홀
피그빌리지
GLOBAL
A New Path for Korean Cinema
The Korean-Led Hollywood Remake Bugonia
By Lee Sun-pil
(OhmyNews Film Reporter)
November 17, 2025
(Source: CJ ENM)
(Source: CJ ENM)
“Cinema is not dead. It's just transforming into different forms.” – Martin Scorsese
At 82 years old, legendary filmmaker Martin Scorsese reiterated this message when he received the Honorary Golden Bear at last year’s Berli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At a time when the rise of OTT platforms and advances in artificial intelligence have sparked concern over the future of cinema, his words carried particular weight — likely because they are grounded in countless experiences and examples from his own long career.
This brings to mind Bugonia, which was released in Korea on November 5. The film is a remake of director Jang Joon-hwan’s feature debut Save the Green Planet! (2003), made 22 years ago when he was still a newcomer. Premiering in the competition section of the 82nd Venice International Film Festival last August, it was introduced to audiences worldwide for the first time there. The word “bugonia” refers to an ancient Greek ritual based on the belief that bees could spontaneously emerge from the carcass of an ox. The term itself has Greek origins — a fitting coincidence, given that this remake was directed by Greek auteur Yorgos Lanthimos.
In the original film, a couple — Lee Byeong-gu (played by Shin Ha-kyun) and Su-ni (played by Hwang Jung-min) — kidnap Mr. Kang (played by Baek Yoon-sik), believing he is an alien sent to conquer Earth while hiding his extraterrestrial identity. Bugonia, however, reimagines this premise: here, two cousins, Teddy (played by Jesse Plemons) and Donnie (played by Aidan Delves), imprison Michelle (played by Emma Stone), the CEO of a rising biotech firm, in an attempt to expose her as an alien. Following its premiere in the competition section of this year’s Venice Film Festival, Emma Stone quickly emerged as a possible Best Actress contender. Critics praised the film for its depiction of contemporary conspiracy culture as a kind of modern-day apocalypse. Although its Rotten Tomatoes score has since dipped slightly to 86%, it held above 90% through its North American release on October 24.
Director Jang Joon-hwan’s
Save the Green Planet!
has been reborn in Hollywood as Bugonia.
(Source: CJ ENM)
CJ ENM and Ari Aster Begin Their Partnership
CJ ENM, which invested in and distributed the original film, began developing the remake project in 2018. Although Save the Green Planet! drew only 73,000 viewers nationwide upon its 2003 release and was not a commercial hit, it earned director Jang Joon-hwan multiple Best New Director awards at major Korean film festivals. The ambitious plan to resurrect this ill-fated gem within the Hollywood system finally came to fruition seven years later.
Bugonia, which opened on October 24 in 17 theaters across North America, expanded to 2,043 screens by the first week of November. Its opening-day gross was USD 709,848 — an impressive per-theater average of USD 41,755. According to Box Office Mojo, this ranks as the fifth-highest per-theater average among all films released in North America this year. The rollout strategy closely mirrors that of Parasite, which launched in just three U.S. theaters on October 19, 2019, and gradually widened to 604 theaters by its fifth week as awards momentum grew. Likewise, U.S. media outlets have already begun naming Bugonia’s cast and director as strong contenders for major Academy Award nominations, further heightening anticipation.
The remake of Save the Green Planet! was initially planned as a low-budget production with a U.S. budget of under USD 30 million (approximately KRW 43 billion). Pre-production began in early 2018 on the assumption that Jang Joon-hwan, director of the original film, would return to lead the project. Development accelerated significantly when director Ari Aster joined as producer. Best known for his uniquely unsettling, occult-inflected films Hereditary (2018) and Midsommar (2019), Aster has long expressed strong admiration for Korean cinema. It is also widely noted that Midsommar itself drew inspiration from Save the Green Planet! .
The collaboration between CJ ENM and Ari Aster began with a special program held at the Los Angeles County Museum of Art (LACMA) in August 2018. The program featured Hwang Dong-hyuk’s The Fortress (2017) and Jang Joon-hwan’s Save the Green Planet! — the latter introduced personally by Ari Aster. Upon hearing of the event, CJ ENM reached out with a proposal for collaboration, which Aster accepted, marking the start of the partnership. Naturally, Danish producer Lars Knudsen, Aster’s longtime collaborator, joined the project, and Will Tracy — known for his writing on HBO’s Succession — was brought on as screenwriter.
In May 2020, Aster and Knudsen released an official statement: “Swinging with youthful abandon between white-knuckle suspense, absurd slapstick, grim horror, and a deeply felt (and earned) sense of tragedy, Save the Green Planet! is one of the most remarkable films to come out of South Korea — among this recent wave or any wave, for that matter. When we heard that director Jang was passionate about revisiting this iconic work, bringing it to the U.S. and updating it to reflect the mess of the world today, we leapt at the chance to be a part of it. It’s an honor to collaborate with CJ ENM and the brilliant director Jang Joon-hwan.”
Bugonia was screened at this year’s Venice Film Festival.
From left: Emma Stone, Director Yorgos Lanthimos, Aidan Delves, and Jesse Plemons
(Source: CJ ENM, Focus Features, Fremantle)
Yorgos Lanthimos Joins the Bugonia Project
Director Yorgos Lanthimos joined the project after Jang Joon-hwan stepped down due to health reasons. Having previously won the Jury Prize and Best Screenplay at the Cannes Film Festival for The Lobster (2015) and The Killing of a Sacred Deer (2017), Lanthimos — now widely regarded as a master filmmaker — had every reason to take on Ari Aster’s Bugonia. Around the same time, screenwriter Will Tracy won an Emmy for Succession, which further drew industry attention to the project’s screenplay.
According to Jerry Ko, Executive Director at CJ ENM and the driving force behind the project, the combination of the new creative team and Will Tracy’s Emmy win led several top Hollywood actresses to express interest in the film. Ultimately, two-time Academy Award winner Emma Stone joined as both lead actress and co-producer, alongside Jesse Plemons — winner of the Best Actor Award at the Cannes Film Festival — among others. With their involvement, the project expanded into a mid-budget production.
As Yorgos Lanthimos took over as director, it was a natural progression for Emma Stone and Jesse Plemons to be considered for the lead roles. Stone had already collaborated with Lanthimos on The Favourite (2018) and Poor Things (2023), while Plemons appeared in Kinds of Kindness (2024), meaning both actors were already part of Lanthimos’s cinematic world. Notably, for his role as Teddy — a man convinced that aliens exist — Jesse Plemons reportedly met several times with a real-life acquaintance who genuinely believes in extraterrestrial life, studying alien lore and related theories to deepen his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
The casting of the character parallel to Su-ni — who assists the protagonist Byeong-gu in carrying out his kidnapping plan in the original film — unfolded in a more dramatic way. In Bugonia, this role is reimagined as Donnie, Teddy’s cousin, played by Aidan Delves, an actor on the autism spectrum. According to CJ ENM, Delves was discovered through a form of street casting. Director Lanthimos reportedly did not want a neurotypical actor to portray a character with a disability. At the time, 17-year-old Delves responded to a casting notice posted on his school bulletin board, submitted a video audition, and was ultimately selected. Jerry Ko shared, “The character was meant to appear as if pretending not to be disabled, and when director Lanthimos saw Delves’s performance, he was moved to tears multiple times.”
At this year’s Venice Film Festival, Lanthimos explained in an official interview with Korean and international media, “It’s like a warning about what human nature truly is, and where we are headed,” adding, “Viewers may find themselves unsure of whom to side with — and that confusion reflects the conspiracy-filled world we live in today.” To emphasize this theme, he employed music in an unconventional manner. Lanthimos asked composer Jerskin Fendrix — who had previously collaborated with him on Poor Things — to compose the score without reading the script, giving him only a few suggestive keywords. He intended for the music not to blend naturally with the images, but to collide with them. In other words, even in its musical approach, the film deliberately diverges from conventional cinematic grammar.
Yorgos Lanthimos, Emma Stone, and Jesse Plemons reunited in
Bugonia after Kinds of Kindness. (Source: CJ ENM)
Bugonia – A New Model for Korean Entry into Hollywood
The emergence of Bugonia coincided with a period of transition in the Hollywood film industry. According to CJ ENM’s Jerry Ko, “Back in 2018, the U.S. studio landscape was shifting. Romantic comedies were disappearing, and the market was splitting between large-scale franchise blockbusters — like the Marvel films — on one side, and smaller independent productions such as Hereditary and Moonlight (2016) from companies like A24 and Neon on the other.” He recalled, “Seeing films like those win Oscars made me believe that Save the Green Planet! — with its originality and audacity — could also be a strong contender.”
The year 2003 is often remembered as a renaissance for Korean cinema, marked by a wave of masterpieces such as Memories of Murder, Oldboy, Silmido, and A Tale of Two Sisters. Amid these works, the quirky, B-grade sci-fi satire Save the Green Planet! was, in truth, treated as an oddity — a film that had arrived ahead of its time. In the end, Bugonia stands as the result of a keen understanding of industry trends, CJ ENM’s determined drive, and, perhaps, a measure of fortunate timing.
Of course, Bugonia is not CJ ENM’s first venture into Hollywood. Earlier examples include August Rush (2007) and Snowpiercer (2013). Going further back, CJ ENM’s partnership with DreamWorks in 1995 laid the groundwork for its overseas expansion in the early 2000s. Yet there is a clear distinction this time. Jerry Ko noted, “Bugonia represents the first instance in which CJ ENM led the project from the initial planning stage — developing the screenplay and producing it with a mid- to high-level budget — while achieving worldwide distribution through a major studio (Focus Features of Universal Pictures).”
The Bugonia team at the 69th London Film Festival,
as the film gains momentum as an Academy Award contender.
(Source: CJ ENM, Focus Features, Fremantle)
In summary, CJ ENM’s previous ventures into Hollywood primarily involved selling remake rights, making partial investments in existing Hollywood projects to secure domestic distribution — as with August Rush — or acting as an investor-distributor that handled overseas sales, as with Snowpiercer. Bugonia, however, is significant because it marks the first time CJ ENM has served as a direct producer, taking part in the Hollywood production and distribution system from start to finish.
Professor Kim Sun-ah of Dankook University’s Department of Performance and Film — who was a producer at Sidus, the production company behind the original Save the Green Planet! — recalled, “At the time, even CJ ENM was hesitant to invest in it. Looking back, I think what made the Korean film renaissance possible was precisely the courage to make daring films like this.” She added, “While Bugonia owes much to the strength of its original concept, I believe its realization also reflects the global fandom for Korean cinema that has been steadily built over many years.”
CJ ENM’s Jerry Ko noted, “Since this was our first attempt at such a joint production model, we had no proven framework to follow. We had to take risks and seize opportunities created by shifts in the market. When the market is stable, you can enter through existing gaps. But in our case, we had to create opportunities — which made us realize that partnerships with local industry players are more crucial than anything. To minimize trial and error, establishing local collaborations — like the one we built with Ari Aster — is essential.”
Bugonia marks the first time CJ ENM has taken on the role
of direct producer for a Hollywood project. (Source: CJ ENM)
The Possibilities and Challenges
of Korea-Led Hollywood Collaborations
Following Bugonia, there has been a noticeable rise in Korean films and filmmakers making inroads into Hollywood. Notable examples include The Hole, directed by Kim Jee-woon; Pig Village, produced by and starring Ma Dong-seok; and The Protector, featuring Milla Jovovich in an action-driven role.
The Hole is adapted from author Pyun Hye-young’s novel of the same name, after an American agent directly acquired the rights and approached Kim Jee-woon to direct. The film is a psychological thriller about an American professor who loses his wife in a car accident and, while recovering under the care of his mother-in-law, begins to uncover disturbing truths about his marriage. The initial screenplay was written by Christopher Chen, known for The Accidental Getaway Driver (2023). The cast includes Theo James, recognized for HBO’s The White Lotus, along with Jung Ho-yeon and Yum Hye-ran.
It was recently announced that Amazon MGM’s Orion Pictures will handle global distribution for The Hole, confirming the film’s status as a full-scale international co-production. The film is jointly produced by three companies: Esmail Corp. (known for the TV series Mr. Robot), K Period Media (producer of Manchester by the Sea (2016)), and Korea’s Anthology Studios. With a production budget of around USD 12 million, it falls into the low-budget category by U.S. standards. This marks Kim Jee-woon’s second collaboration with Hollywood, following The Last Stand (2013).
Choi Jae-won, CEO of Anthology Studios, explained, “Esmail Corp., which had acquired the original rights, initially faced difficulties in developing the project. When we joined, we reworked the first draft and received approval to make the protagonist’s wife a Korean character. In most previous co-productions, Korea’s role was closer to outsourced participation, but The Hole represents a genuine joint production led by Korean staff and actors.” The Hole began filming in mid-March, completed its first phase of production in June, and is set to resume with a second round of filming in November.
Meanwhile, The Protector represents a reverse case: an intellectual property developed in Korea and later pitched to Hollywood. The screenplay was written by Moon Bong-seok of Anaxion Studio, with the project co-planned and developed by three Korean companies: Anaxion Studio, Blossom Entertainment (a management and content development firm), and Olbareun Company. Directed by Adrian Grünberg of Rambo: Last Blood (2019), The Protector completed filming in February and is currently in post-production, with a U.S. release planned for February 2026.
A scene from The Protector (left) and director Adrian Grünberg with Milla Jovovich
at this year’s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Source: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Joo Bang-ok, CEO of Blossom Entertainment, stated,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e domestic market was really struggling, so writer Moon Bong-seok — who had already built a strong network in Hollywood — and I decided to join forces and persuade partners there to collaborate. We wanted to create a co-production model in which Korean creators could take the lead, rather than ending up with situations like certain Netflix projects where the IP is taken over or outsourced.” He continued, “We are consistently developing projects that can begin as relatively low-budget films, around KRW 25–30 billion. I believe this approach could become a viable alternative in Korea’s struggling film industry.” The three companies are currently preparing several international co-productions, including a new film from director Paul W. S. Anderson (husband of Milla Jovovich), and an animated feature involving the executive producer of Pokémon.
Pig Village was conceived as a self-rescue strategy amid the downturn of the Korean film industry, following a trajectory similar to The Protector. The film is a joint production among three Korean companies: Big Punch Pictures (founded by actor Ma Dong-seok), Nova Film, and B&C Content. The story follows a professional boxer and a group of criminals with conflicting motives who converge along the U.S.–Mexico border. Director Lee Sang-yong, known for The Roundup series, directed the film, with a screenplay by Cha Woo-jin. The cast features an impressive international lineup, including Michael Rooker (best known as Yondu in Guardians of the Galaxy), Colin Woodell, Lisette Olivera, Ally Maki, and Abraham Popoola.
“We felt the need for a new breakthrough amid the prolonged stagnation of the Korean film industry. Since the film was produced with Korean capital and within the Korean production system, we were able to operate with a much more reasonable budget compared to large-scale global productions. From this perspective, we see potential for Korean filmmaking to expand into new directions,” a spokesperson from Big Punch Pictures said.
Pig Village, starring Ma Dong-seok, is a joint production by Big Punch Pictures,
Nova Film, and B&C Content. (Source: Big Punch Pictures)
Whether it involves proactively adapting existing IP to the Hollywood system, pitching newly developed IP to overseas studios, or participating as equal co-producers rather than subcontracted partners, these examples clearly signal a shift in the position of Korean filmmakers. Blossom Entertainment’s Joo Bang-ok noted, “There’s also KPop: Demon Hunters, and thanks to the groundwork laid by Korean creators like Bong Joon-ho and Park Chan-wook, there is now a much more welcoming environment for collaboration,” referring to the current favorable climate.
However, significant challenges remain. Hollywood’s mainstream market is itself in flux, and the global platform ecosystem is changing rapidly. Jerry Ko observed, “Even Paul Thomas Anderson’s One Battle After Another, despite strong reviews, is currently operating at a loss — which shows that large-scale projects of this kind are not sustainable business models. Amid this instability, I believe there are relative opportunities for Korean creators.” He continued, “At the same time, it is difficult for a Korean company to oversee everything from A to Z or to resolve every issue alone when co-producing overseas, whether in Hollywood or elsewhere. Even if we maintain leadership, we must decide where our strengths lie. These collaborative models are still in their early stages, so accumulating more experience is essential.”
#KoreanCinema #Bugonia #SaveTheGreenPlanet #YorgosLanthimos #EmmaStone #JessePlemons #DirectorJangJoonhwan #CJENM #Remake #TheProtector #TheHole #PigVill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