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SPECIAL
일본영화의 글로벌 전략, 심상찮다!
활기 띤 일본영화, 한일 공동제작의 향방은?
2025-11-03
NEW AI, 어떻게 쓰고 책임질 것인가
한국영화 산업에 다가올 AI 저작권 분쟁
2025-11-17
PEOPLE
고통의 순간, 나를 건져낼 수 있는 힘에 대하여
<세계의 주인> 윤가은 감독
2025-11-03
“감독과 배우 보고 영화 보던 시대 지났다”
바이포엠스튜디오 한상일 이사
2025-11-03
READING
NEW 이것은 ‘잃어버린 청춘’의 이야기
<퍼스트 라이드> YES or NO
2025-11-17
NEW 서늘하고 까끌까끌한 여성 버디 무비
<하얀 차를 탄 여자>
2025-11-17
GLOBAL
KOFIC STORY
BOX OFFICE
주간 박스오피스
11월 2주차 위클리 박스오피스
글 _ 김선아(한경매거진앤북 기자)
2025-11-18
11월 2주차 극장가는 전체 관객 수가 전주 대비 다소 감소했지만 신작과 구작이 균형을 이루며 꾸준한 관객 유입을 보였고, 장르 다변화와 콘텐츠 다양성으로 극장의 활기를 이어갔다.
1위는 〈나우 유 씨 미 3〉가 차지했다. 나쁜 놈들 잡는 마술사기단 호스맨이 더러운 돈의 출처인 하트 다이아몬드를 훔치기 위해 목숨을 건 지상 최고의 마술쇼를 펼치는 블록버스터 영화로, 59만 명의 관객을 모으며 56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2위는 꾸준한 입소문 속 장기 흥행 중인 일본 애니메이션 〈극장판 체인소 맨: 레제편〉이다. 의문의 소녀 레제와의 만남 이후 혼란에 빠진 체인소 맨의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이번 주 18만 명의 관객과 19억 원의 매출을 올렸다. 누적 관객 수는 316만 명이다.
3위는 SF 액션물 〈프레데터: 죽음의 땅〉으로, 생명을 지닌 모든 것을 위협하는 죽음의 땅, 그곳의 최상위 포식자 칼리스크를 사냥하기 위한 프레데터 덱과 휴머노이드 티아의 생명을 건 공조와 사투를 그린 액션 어드벤처 영화다. 이번 주 14만 명을 동원하며 14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4위는 한국 코미디 영화 〈퍼스트 라이드〉로, 24년 지기 친구들의 첫 해외여행기를 다룬다. 특유의 유쾌한 시너지가 주효해 11만 명의 관객을 동원했고, 매출은 10억 원이다. 누적 관객 수는 69만 명이다.
5위는 일본 미스터리 스릴러 〈8번 출구〉가 차지했다. 무한 루프의 지하도를 배경으로 출구를 찾는 남자의 여정을 그린 이 영화는 한 주 간 4만 명의 관객을 모으며 4억 원의 매출을 올렸다.
11월 2주차 흥행 TOP10
나우 유 씨 미 3
개봉일 2025-11-12
매출액 56억 원
관객수 59만 명
극장판 체인소 맨: 레제편
개봉일 2025-09-24
매출액 19억 원
관객수 18만 명
프레데터: 죽음의 땅
개봉일 2025-11-05
매출액 14억 원
관객수 14만 명
퍼스트 라이드
개봉일 2025-10-29
매출액 10억 원
관객수 11만 명
8번 출구
개봉일 2025-10-22
매출액 4억 원
관객수 4만 명
극장판 귀멸의 칼날: 무한성편
개봉일 2025-08-22
매출액 3억 원
관객수 3만 명
부고니아
개봉일 2025-11-05
매출액 2억 원
관객수 2만 명
세계의 주인
개봉일 2025-10-225
매출액 2억 원
관객수 2만 명
꼬마돼지 베이브와 타피티
개봉일 2025-11-13
매출액 1억 원
관객수 1만 명
극장판 똘똘이: 아기공룡의 비밀
개봉일 2025-11-07
매출액 1억 원
관객수 1만 명
11월 2주차 독립·예술영화 박스오피스는 전주 대비 전체 관객 수가 소폭 증가한 가운데, 기존 강자 <8번 출구>가 3주 연속 1위를 차지하며 인기를 이어갔다. 새롭게 진입한 작품들도 다양성을 바탕으로 관객층을 넓혀가고 있다.
1위는 <8번 출구>다. 지하도에서 끝없이 반복되는 무한 루프에 빠진 남자가 8번 출구를 찾아 탈출하려는 미스터리 서사로, 독특한 연출과 긴장감 넘치는 전개가 호평을 받고 있다. 이번 주 4만 명의 관객을 모아 4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누적 관객 수는 43만 명이다.
2위는 <세계의 주인>이다. 교내 서명운동을 거부한 여고생 주인이 낯선 쪽지를 받으며 벌어지는 이야기로, 10대의 존재감과 관계를 예리하게 포착한 작품이다. 이번 주 관객 수는 2만 명, 매출은 2억 원이며, 누적 관객 수는 11만이다.
3위는 <꼬마돼지 베이브와 타피티>다. 혼자 있고 싶은 미어캣 ‘타피티’와 가족을 만들고 싶은 꼬마돼지 ‘베이브’가 사막에서 해독제를 찾기 위한 여정을 그린 애니메이션이다. 1만 명이 관람해 1억 원의 매출을 올렸다.
4위는 <왼손잡이 소녀>다. 악마의 손 왼손을 쓰는 왼손잡이 소녀로 인해 할머니의 60번째 생신파티에서 마침내 폭발해버린 가족 3대의 비밀을 다룬 드라마다.
5위는 <달팽이 농구단>이다. 전 국가대표 농구선수가 휠체어
11월 2주차 독립·예술영화 흥행 TOP10
8번 출구
개봉일 2025-10-22
매출액 374백만 원
관객수 37천 명
세계의 주인
개봉일 2025-10-22
매출액 184백만 원
관객수 19천 명
꼬마돼지 베이브와 타피티
개봉일 2025-11-13
매출액 120백만 원
관객수 14천 명
왼손잡이 소녀
개봉일 2025-11-12
매출액 45백만 원
관객수 5천 명
달팽이 농구단
개봉일 2025-11-12
매출액 41백만 원
관객수 5천 명
사람과 고기
개봉일 2025-10-07
매출액 39백만 원
관객수 5천 명
뱀파이어 헌터 D
개봉일 2025-11-12
매출액 33백만 원
관객수 3천 명
럭키 데이 인 파리
개봉일 2025-11-12
매출액 32백만 원
관객수 3천 명
베이비걸
개봉일 2025-10-29
매출액 16백만 원
관객수 2천 명
바람이 전하는 말
개봉일 2025-11-05
매출액 12백만 원
관객수 1천 명
2025년 11월 2주차 극장가는 전주 대비 뚜렷한 상승세를 보였다. 전체 관객 수는 134만 명, 매출은 131억 원으로, 전주보다 각각 27만 명, 25억 원 증가한 수치다. 개봉작 수는 총 16편으로, 전주(36편) 대비 절반 이상 줄었음에도 불구하고, 주요 외화 신작들의 흥행이 극장가 전체 상승세를 견인했다.
한국영화는 총 9편이 개봉해 23만 명의 관객을 동원하며 22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점유율은 17.0%로, 전주 대비 18.0%p 급감했다. 반면 외국영화는 7편 개봉에 그쳤지만, 111만 명의 관객과 108억 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강세를 이어갔다. 점유율은 83.0%로, 올해 최고 수준을 기록하며 압도적인 우위를 점했다. 특히, 할리우드 블록버스터 및 일본 애니메이션의 장기 흥행이 외화 흥행세에 힘을 보탰다.
11월 둘째 주 극장가는 외화가 주도한 한 주였고, 이 같은 흐름은 연말까지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다만 다양한 장르의 글로벌 기대작들이 잇따라 개봉하며, 침체된 극장가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최근 4주간 극장 매출 및 한국영화 점유율
| 기간 | 전체 | 한국 | 외국 | ||||||||
|---|---|---|---|---|---|---|---|---|---|---|---|
| 개봉편수 | 매출액(억 원) | 관객수(만 명) | 개봉편수 | 매출액 | 관객수 | 점유율 | 개봉편수 | 매출액 | 관객수 | 점유율 | |
| 11월 2주차 | 16 | 131 | 134 | 9 | 22 | 23 | 17.0% | 7 | 108 | 111 | 83.0% |
| 11월 1주차 | 36 | 106 | 107 | 19 | 36 | 37 | 35.0% | 17 | 71 | 69 | 65.0% |
| 10월 4주차 | 28 | 124 | 127 | 13 | 55 | 56 | 44.4% | 15 | 69 | 70 | 55.6% |
| 10월 3주차 | 17 | 122 | 123 | 9 | 34 | 34 | 27.8% | 8 | 89 | 89 | 7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