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SPECIAL
OTT 오리지널 영화들은 어디로?
OTT로 번져버린 ‘한국영화 위기론’
2025-10-01
NEW 안전함 대신 부산다운 선택이 필요하다
30회 부산국제영화제 돌아보기
2025-10-15
PEOPLE
READING
GLOBAL
KOFIC STORY
BOX OFFICE
주간 박스오피스
10월 3주차 위클리 박스오피스
글 _ 김선아(한경매거진앤북 기자)
2025-10-28
2025년 10월 3주차 박스오피스는 전체 관객 수와 매출이 전주 대비 하락세를 보였지만, 상위권 작품들이 비교적 고르게 분포하며 꾸준한 흥행세를 이어갔다. 특히 일본 애니메이션의 인기가 식지 않았고, 한국영화의 선전도 계속되고 있다.
1위는 일본 애니메이션 <극장판 체인소 맨: 레제편>이다. 전기톱 악마 ‘포치타’와 계약해 ‘체인소 맨’이 된 소년 ‘덴지’와 의문의 소녀 ‘레제’의 만남을 그린 액션 판타지로, 원작 팬층의 탄탄한 지지를 바탕으로 이번 주 33만 명의 관객을 동원, 35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누적 관객 수는 255만 명이다.
2위는 무한루프의 지하도에 갇혀 8번 출구를 찾아 헤매는 남자가 반복되는 통로 속 이상 현상을 찾아 탈출하는 이야기를 그린 일본영화 <8번 출구>다. 이번 주 19만 명을 동원, 18억 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성공적인 개봉 첫 주를 보냈다.
3위는 한국영화 <보스>다. 보스 자리를 서로 양보하는 조직원들의 좌충우돌을 담은 유쾌한 코믹 액션으로, 배우들의 케미스트리가 호평을 받고 있다. 12만 명의 관객을 추가하며 11억 원의 매출을 올렸다. 누적 관객 수는 238만 명이다.
4위는 한국영화 <어쩔 수가 없다>다. 해고당한 가장이 가족을 지키기 위해 처절한 싸움을 벌이는 이야기로, 현실적인 묘사와 박찬욱 감독 특유의 연출이 돋보인다. 이번 주 9만 명을 모으며, 9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누적 관객 수는 287만 명이다.
5위는 일본 애니메이션 <극장판 귀멸의 칼날: 무한성편>이다. 무한성에서 벌어지는 새로운 전투를 중심으로, 주요 캐릭터들의 성장과 결의를 조명하는 에피소드다. 이번 주 6만 명이 극장을 찾았고, 6억 원의 매출을 거두며 꾸준한 인기를 이어갔다. 누적 관객 수는 553만 명에 달한다.
10월 3주차 흥행 TOP10
극장판 체인소 맨: 레제편
개봉일 2025-09-24
매출액 35억 원
관객수 33만 명
8번 출구
개봉일 2025-10-22
매출액 18억 원
관객수 19만 명
보스
개봉일 2025-10-03
매출액 11억 원
관객수 12만 명
어쩔수가없다
개봉일 2025-09-24
매출액 9억 원
관객수 9만 명
극장판 귀멸의 칼날: 무한성편
개봉일 2025-08-22
매출액 6억 원
관객수 6만 명
극장판 주술회전: 회옥·옥절
개봉일 2025-10-16
매출액 6억 원
관객수 6만 명
원 배틀 애프터 어나더
개봉일 2025-10-01
매출액 5억 원
관객수 5만 명
세계의 주인
개봉일 2025-10-11
매출액 3억 원
관객수 3만 명
웨폰
개봉일 2025-10-15
매출액 2억 원
관객수 2만 명
연의 편지
개봉일 2025-10-01
매출액 1억 원
관객수 1만 명
2025년 10월 3주차 독립·예술영화 박스오피스는 한국영화들이 상위권에 고루 포진하며 존재감을 드러낸 한 주였다. 성장, 정체성, 인생의 단면들을 섬세하게 그려낸 작품들이 상위권에 고르게 포진하며 관객의 공감대를 형성했다.
1위는 전체 박스오피스에서도 상위권을 점령한 일본영화 <8번 출구>다. 지하도에서 무한 루프에 빠진 남자가 기이한 현상 속에서 8번 출구를 찾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과정을 담은 영화로, 독특한 설정과 미스터리한 분위기로 관객들의 호기심을 자극한다. 이번 주 19만 명의 관객을 동원했고, 매출은 18억 원을 기록했다.
2위는 한국영화 <세계의 주인>이다. 인싸와 관종 사이, 속을 알 수 없는 열여덟 여고생 ‘주인’이 전교생이 참여한 서명운동을 홀로 거부한 뒤 의문의 쪽지를 받기 시작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그렸다. 이번 주 3만 명의 관객을 모아 2억 8천만 원의 매출을 올렸다.
3위는 한국 애니메이션 <연의 편지>다. 전학생이 한 통의 편지를 따라가며 펼쳐지는 과거와 현재의 교차 이야기를 담은 애니메이션으로, 서정적인 영상미와 잔잔한 감성이 돋보인다. 이번 주 1만 1천 명의 관객이 극장을 찾았고, 매출은 1억 원이다. 누적 관객 수는 22만 명이다.
4위는 한국영화 <사람과 고기>다. 노인 세 명이 ‘고기를 공짜로 먹는 방법’을 찾기 위해 벌이는 유쾌한 여정을 통해 노년의 삶을 따뜻하게 비춘 작품이다. 아침과 저녁 늦은 시간에 주로 배정된 퐁당퐁당 상영으로 어려움을 겪었는데, 관객 수 2만 명을 넘어섰다.
5위는 미국영화 <굿 보이>다. 강아지 시점에서 벌어지는 미스터리한 이야기를 중심으로, 사람과 반려동물의 관계를 색다르게 그려낸 호러 코미디이다.
10월 3주차 독립·예술영화 흥행 TOP10
8번 출구
개봉일 2025-10-22
매출액 1,821백만 원
관객수 186천 명
세계의 주인
개봉일 2025-10-22
매출액 275백만 원
관객수 29천 명
연의 편지
개봉일 2025-10-01
매출액 244백만 원
관객수 26천 명
사람과 고기
개봉일 2025-10-07
매출액 70백만 원
관객수 8천 명
굿보이
개봉일 2025-10-22
매출액 40백만 원
관객수 5천 명
그저 사고였을 뿐
개봉일 2025-10-01
매출액 36백만 원
관객수 3천 명
만남의 집
개봉일 2025-10-15
매출액 18백만 원
관객수 2천 명
경성유랑극단
개봉일 2025-10-24
매출액 18백만 원
관객수 2천 명
홈캠
개봉일 2025-09-10
매출액 14백만 원
관객수 2천 명
마작
개봉일 2025-10-15
매출액 18백만 원
관객수 2천 명
2025년 10월 3주차 극장가는 개봉작 수 감소와 함께 전체 관객 및 매출이 모두 하락하며 다소 주춤한 흐름을 보였다. 전체 관객 수는 123만 명, 매출액은 122억 원으로, 전주 대비 각각 9만 명, 10억 원 감소한 수치다. 추석 특수 이후 완만한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으며, 신작보다 기존 화제작들의 장기 상영이 흥행을 이끌고 있다.
한국영화는 총 9편이 개봉해 34만 명의 관객과 34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점유율은 27.8%로, 전주(39.7%) 대비 12%p 이상 하락했다. 개봉작 수는 증가했지만 전반적인 흥행 파급력은 제한적인 모습을 보였다.
외국영화는 총 8편이 개봉했으며, 89만 명의 관객과 89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점유율은 72.2%로 전주 대비 크게 상승했다. 일본 애니메이션과 북미 장르 영화들이 상위권을 지키며 외화 강세가 이어지는 양상이다.
10월 3주차 극장가는 전반적인 하락세 속에서도 외화가 꾸준히 관객을 끌어 모으며 시장을 견인했고, 한국영화는 장르의 다양성을 기반으로 반등 기회를 엿보고 있다.
최근 4주간 극장 매출 및 한국영화 점유율
| 기간 | 전체 | 한국 | 외국 | ||||||||
|---|---|---|---|---|---|---|---|---|---|---|---|
| 개봉편수 | 매출액(억 원) | 관객수(만 명) | 개봉편수 | 매출액 | 관객수 | 점유율 | 개봉편수 | 매출액 | 관객수 | 점유율 | |
| 10월 3주차 | 17 | 122 | 123 | 9 | 34 | 34 | 27.8% | 8 | 89 | 89 | 72.2% |
| 10월 2주차 | 18 | 132 | 132 | 5 | 50 | 52 | 39.7% | 13 | 82 | 79 | 60.3% |
| 10월 1주차 | 23 | 409 | 407 | 10 | 247 | 252 | 61.9% | 13 | 162 | 155 | 38.1% |
| 9월 4주차 | 22 | 234 | 231 | 10 | 143 | 144 | 62.2% | 12 | 91 | 88 | 37.8% |
| 9월 3주차 | 14 | 157 | 146 | 4 | 73 | 69 | 47.3% | 10 | 84 | 77 | 5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