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8월

Quick Menu

BOX OFFICE

주간 박스오피스

7월 4주차 위클리 박스오피스

글 _ 김선아(한국경제매거진 기자)

2025-07-29

2025년 7월 넷째 주, 극장가는 여름 성수기를 맞아 다양한 신작들이 대거 합류하며 흥행 경쟁이 치열해졌다. 전체적으로 외화 강세가 여전한 가운데, 한국영화도 본격적인 반격을 시작한 한 주였다.

1위는 안효섭, 이민호 주연의 <전지적 독자 시점>이 차지했다. 유명 인기 웹소설을 원작으로 한 판타지 액션 블록버스터로, 10년 이상 연재된 소설이 완결된 날, 그 소설의 유일한 독자였던 ‘김독자’의 눈 앞에서 현실이 그가 알던 소설 속의 세계로 변하면서 펼쳐지는 생존과 성장의 이야기를 그린다. 원작 팬덤이 강한 작품으로, 개봉 첫 주 63만 명의 관객을 동원하며 63억 원의 매출을 기록하는 오프닝 성적을 올렸다.

2위는 <F1 더 무비>다. 브래드 피트가 실제 F1 레이싱 현장을 배경으로 열연한 이 작품은, 고요한 긴장감과 속도감 있는 연출로 관객을 사로잡고 있다. 개봉 5주 차에도 52만 명의 관객을 추가하며 누적 관객 수는 239만 명에 달한다.

3위는 <판타스틱 4: 새로운 출발>이다. 마블의 인기 히어로 팀을 재해석한 리부트작으로, 새로운 배우와 세계관으로 돌아온 이 시리즈는 가족, 초능력, 그리고 지구의 위기를 담은 모험이 특징이다. 개봉 첫 주 34만 명의 관객을 모으며 38억 원의 매출을 올렸다.

4위는 <킹 오브 킹스>다. 영국 소설가 찰스 디킨스가 아들 월터에게 들려주는 예수의 이야기를 애니메이션으로 그려낸 작품으로, 따뜻한 메시지와 신앙적 상징이 어우러진 판타지 드라마다. 이번 주 34만 명을 추가하며 매출은 32억 원을 기록했다. 누적 관객 수는 73만 명이다.

5위는 <명탐정 코난: 척안의 잔상>이다. 일본 극장판 애니메이션의 대표작이자 꾸준한 팬층을 보유한 <명탐정 코난> 시리즈의 신작으로, 치밀한 추리와 감정선이 이번 작품에서도 돋보인다. 이번 주 20만 명을 동원, 매출은 20억 원을 기록했으며, 누적 관객 수는 52만 명에 도달했다.

이번 주 극장가는 한국형 블록버스터 <전지적 독자 시점>의 성공적인 데뷔와 함께, 외화 시리즈물의 강세가 여전히 이어지는 혼전 양상을 보였다. 다음 주 <좀비딸>의 개봉을 앞두고 있어 흥행 지형 변화에 이목이 쏠린다.

7월 4주차 흥행 TOP10

전지적 독자 시점

개봉일 2025-07-23
매출액 63억 원
관객수 63만 명

F1 더 무비

개봉일 22025-06-25
매출액 56억 원
관객수 52만 명

판타스틱 4: 새로운 출발

개봉일 2025-07-24
매출액 38억 원
관객수 34만 명

킹 오브 킹스

개봉일 2025-07-16
매출액 32억 원
관객수 34만 명

명탐정 코난: 척안의 잔상

개봉일 2025-07-16
매출액 20억 원
관객수 20만 명

노이즈

개봉일 2025-06-25
매출액 16억 원
관객수 16만 명

쥬라기 월드: 새로운 시작

개봉일 2025-07-02
매출액 12억 원
관객수 12만 명

슈퍼맨

개봉일 2025-07-09
매출액 7억 원
관객수 7만 명

베베핀 극장판: 사라진 베베핀과 핑크퐁 대모험

개봉일 2025-07-24
매출액 6억 원
관객수 6만 명

극장판 도라에몽: 진구의 그림이야기

개봉일 2025-07-16
매출액 2억 원
관객수 2만 명

2025년 7월 넷째 주, 독립·예술영화 박스오피스 1위는 <베베핀 극장판: 사라진 베베핀>이 차지했다. 유아 인기 캐릭터 ‘베베핀’의 첫 극장판 애니메이션으로, TV 시리즈의 감성과 교육적 메시지를 담은 극장판 스페셜이다. 개봉 첫 주 6만 3천 명의 관객을 동원하며 5억 8천만 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2위는 일본 가족 드라마 <이사>다. 일본 독립영화계의 거장 소마이 신지의 30년 전 대표작으로, 그의 첫 칸영화제 초청작이기도 하다. 4K로 복원되어 2023년 80회 베니스영화제에서 최우수 복원 영화상을 수상하며, 시대를 초월한 걸작으로 주목 받아 한국 개봉에 이르렀다. 부모의 갈등 사이에서 상처받은 소녀가 ‘세 가족 여행’을 제안하며 다시 가족을 이어보려는 여정을 그린 따뜻한 성장 드라마다.

3위는 알랭 기로디의 신작이자 프랑스, 스페인, 포르투갈이 공동 제작한 블랙 코미디 스릴러 <미세리코르디아>다. 장례식 이후 벌어지는 수상한 분위기 속에서 주인공이 마주하는 진실을 긴장감 있게 그려냈다. 묵직한 서사와 서스펜스의 연출로 평단의 전폭적인 지지를 받고 있는 영화다.

4위는 <발코니의 여자들>이다. 한여름 밤, 이웃 남자의 집에서 벌어진 의문의 사건을 계기로 세 여자가 벌이는 시체 유기 작전을 블랙코미디로 풀어낸 프랑스 범죄 영화다. <타오르는 여인의 초상>의 감독 셀린 시아마와 배우 노에미 멜랑이 의기투합한 프로

젝트라는 점에서도 화제다. 특유의 유머와 긴장감으로 유럽 영화 팬층의 관심을 끌고 있다. 5위는 <무명 無名>이다. 일제강점기 조선에서 복음을 전했던 일본인 선교사들의 실화를 담은 한국 감동 실화극이다. ‘이름 없이 사랑만 남긴 사람들’의 이야기가 관객들에게 깊은 울림을 전하고 있다. 누적 관객 수는 6만 5천 명을 돌파했다.

이번 주 독립·예술영화 시장은 다양한 국적과 장르의 작품들이 고르게 포진해 관객의 선택을 받았다. 여름 성수기 대작들 속에서도 각자의 색채와 주제를 지닌 작품들이 꾸준히 주목을 받으며 의미 있는 성과를 이어가고 있다.

7월 4주차 독립·예술영화 흥행 TOP10

베베핀 극장판: 사라진 베베핀과 핑크퐁 대모험

개봉일 2025-07-24
매출액 585백만 원
관객수 63천 명

이사

개봉일 2025-07-23
매출액 89백만 원
관객수 9천 명

미세리코르디아

개봉일 2025-07-16
매출액 57백만 원
관객수 6천 명

발코니의 여자들

개봉일 2025-07-09
매출액 20백만 원
관객수 2천 명

무명 無名

개봉일 2025-06-25
매출액 16백만 원
관객수 2천 명

8과 1/2

개봉일 2025-07-23
매출액 14백만 원
관객수 1천 명

여름이 지나가면

개봉일 2025-07-09
매출액 10백만 원
관객수 1천 명

우리들의 교복시절

개봉일 2025-07-11
매출액 9백만 원
관객수 1천 명

봄밤

개봉일 2025-07-09
매출액 8백만 원
관객수 1천 명

해피엔드

개봉일2025-04-30
매출액 7백만 원
관객수 1천 명

2025년 7월 넷째 주, 극장가는 여름 성수기의 정점으로 향하는 흐름 속에서 다시 한 번 관객과 매출 모두 상승세를 기록했다. 전체 관객 수는 267만 명, 매출액은 270억 원으로 전주 대비 각각 44만 명, 49억 원 증가하며 활기를 되찾았다.

특히 한국영화의 약진이 돋보였다. 한국영화 점유율은 47.8%로, 올여름 들어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개봉작 수는 9편, 관객 수는 128만 명, 매출은 125억 원으로, 전주 대비 각각 54만 명, 54억 원이 증가했다. <전지적 독자 시점>을 비롯해 애니메이션과 장르물이 고르게 선전하며 관객 유입을 견인했다.

외국영화는 여전히 꾸준한 흥행세를 보이고 있다. 개봉작 수는 13편, 관객 수는 139만 명, 매출액은 145억 원으로 전체 점유율은 52.2%다. <F1 더 무비><명탐정 코난: 척안의 잔상> 등 기존 화제작과 검증된 인기작 시리즈가 꾸준히 관객을 모으며 흥행을 이어가고 있다.

이번 주 극장가는 한국영화와 외국영화가 거의 비등하게 경쟁하는 구도가 형성되며 오랜만에 국내 콘텐츠의 저력이 부각된 한 주였다.

최근 4주간 극장 매출 및 한국영화 점유율

기간 전체 한국 외국
개봉편수 매출액(억 원) 관객수(만 명) 개봉편수 매출액 관객수 점유율 개봉편수 매출액 관객수 점유율
7월 4주차 22270267912512847.8%1314513952.2%
7월 3주차 2522122314717433.3%1114914966.7%
7월 2주차 1725225513666625.8%418618974.2%
7월 1주차 112482521545622.3%1019319677.7%
박스오피스 위클리박스오피스 주간흥행 7월4주차 영화순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