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영화

cover img

K-Movie Today

Perspectives on Contemporary Narrative of
Korean Diasporans in North American Media
북미 미디어 속 동시대
한국 이민자 서사에 대한 시선

by Carolyn Hinds
글 캐롤린 하인즈(Carolyn Hinds)

Film and TV are visual art forms that give writers, directors, cinematographers, production designers and other creatives the opportunity to relay stories about the world to their audience. Stories about people from countries, backgrounds, and cultures with experiences different to their own. Experiences like those of Korean diasporans living in North America. For decades stories told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Americans were almost completely absent on the proverbial big and small screens in North America, but this fortunately, has been changing.

영화나 TV는 작가, 감독, 촬영감독, 제작 디자이너를 비롯한 많은 창작자가 관객에게 세상의 이야기를 전달하는 기회를 제공하는 시각 예술 형식이다. 이 형식을 통해 다양한 국가, 배경, 문화 경험을 가진 사람들의 이야기가 그려진다. 북미에 사는 한국 이민자들의 경험도 그중 하나다. 지난 수십 년간 한국계 이민자의 관점에서 전달되는 이야기는 북미의 영화나 TV 매체 어디에서도 보기 힘들었지만, 다행히도 상황은 바뀌었다.

Within the last decade there’s been a slow, but steady increase in more films and shows focused on the lives and day-to-day experiences of people from the Korean diaspora not only being produced by studios and networks, but also becoming part of what would be termed as ‘mainstream’ media with general populations in both countries. In noting the significant change in the representation of Korean and Korean-Americans behind and in front of the camera, this article will focus more on contemporary and modern representations of Korean diasporan stories produced in America, and Canada.

최근 10년간 전문 영화 및 TV 프로그램 제작사에서 한국 이민자의 삶이나 일상 경험에 초점을 맞춘 영화나 프로그램은 느리지만 꾸준하게 제작됐고 이제는 북미 대중들이 생각하는 ‘주류’ 매체에서도 흔히 볼 수 있게 됐다. 본 기고문에서는 카메라 안팎에서 한국인 및 한국계 이민자의 존재감이 크게 변화했음에 주목하면서 미국과 캐나다에서 제작되는 동시대 및 현대 한국계 이민자 이야기가 어떻게 표현되는지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To be contemporary means to be existing in the present. Living in the now, seeing and experiencing the world around us with the clear understanding that what’s currently happening is shaping the way we’ll perceive everything in the future, and contemporary art is a reflection of our environment in a broader context. It should encapsulate the present thinking of the community, culture, society, and world and interpret them in such a way that it encourages the observer to expand their thinking and understanding beyond the personal to the collective.

동시대란 지금 존재한다는 뜻이다. 현재를 살아가며 지금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분명히 이해한 채 세상을 바라보고 경험하는 일은 미래 세상을 인지하는 방식을 형성한다. 동시대 예술이란 넓은 맥락에서 우리 환경을 반영한다. 당연하게도 공동체, 문화, 사회, 세상에 대한 지금의 생각은 물론, 관찰자가 개인을 넘어 집단으로 그 사고와 이해를 넓힐 수 있는 해석을 담고 있다.

Whether the story and characters being presented are completely fictional like in films such Celine Song’s Past Lives (2023), or based on real people like the Lee family in Coming Home Again (2019) by director Wayne Wang, there should be elements of believability that not only engages the audience but provide authenticity that pays respect to the culture and people represented.

셀린 송 감독의 데뷔작 <패스트 라이브즈>(2023)처럼 완전히 허구의 산물인 이야기나 캐릭터가 등장하든, 웨인 왕 감독의 <커밍 홈 어게인>(2019)에 등장하는 이 씨 가족처럼 실제 인물을 참고하든, 작품은 관객을 끌어들일 뿐만 아니라 그 작품을 통해 대표되는 문화와 민족에게 존중을 표하는 진정성을 보여주는 개연성이 있어야 한다.

image
image
영화 <미나리><라이스보이 슬립스>, 출처 판씨네마(주)
Film <Minari><Riceboy Sleeps>, Courtesy of Pancinema Corp.

Before we go any further let me explain a bit more about the types of films and shows to be discussed. For the purposes of this piece the concept of contemporary narratives in this context is being applied to projects released within the last several years featuring stories taking place in the ‘present day’, so films such as Minari (2020), Riceboy Sleeps (2022), and AppleTV+’s Pachinko (2022 - ) don’t apply as they’re set decades in the past depicting specific historical eras, and events that while they may be related in some sense to the broader idea of representation , they’re considered period pieces. Therefore, not contemporary for this purpose.

본 기고문에서 논의하고자 하는 영화와 TV 드라마 유형에 대해 좀 더 자세한 설명이 필요할 것 같다. 이 글의 목적을 위해서 동시대 서사라는 개념은 최근 몇 년간 발표된 작품 중 ‘오늘날’의 이야기를 특징으로 하는 작품들에 적용된다. <미나리>(2020)와 <라이스보이 슬립스>(2022), AppleTV+의 <파친코>(2022) 같은 작품들의 경우 특정 역사적 시대나 사건을 묘사하는 수십 년 전 과거가 배경이므로 동시대 서사 개념이 적용되지 않는다. 물론 이 작품들은 대표성이라는 보다 넓은 개념과 어느 정도 관련이 있을 수 있지만, 시대극으로 간주되기에 여기에서 다루는 동시대 서사는 아니다.

Past Lives, however, applies as the plot moves through different decades from the past to present; 2000 Seoul, South Korea, to the present day, serving as an excellent example of a contemporary narrative about the experience of a Korean diasporan’s emotional connection to her native homeland and her adopted home in North America, first Toronto, then New York.

그러나 <패스트 라이브즈>는 2000년의 서울에서부터 현재까지 이어지는 플롯으로, 한국인 여성 캐릭터가 고국과 이민국인 캐나다 토론토, 나중에는 미국 뉴욕에서의 경험을 다루며 한국 이민자의 감정적 연결성에 대한 경험을 이야기하는 훌륭한 동시대 서사의 예시다.

In discussing how the narratives of films like Minari, and Past Lives differ in their depiction of the immigrant experience, student of filmmaking at NYU TISCH, and writer and director of the short film Jesa, Jee Hoon Seo had this to say.

뉴욕대학교 미술대학 영화과 학생이자 단편 영화 <제사>의 작가 겸 감독인 서지훈은 <미나리> 같은 영화의 서사와 <패스트 라이브즈>의 서사가 이민자의 경험을 묘사하는 방식이 어떻게 다른지 논하면서 다음과 같이 말한다.

image
영화 <미나리>, 출처 판씨네마(주)
Film <Minari>, Courtesy of Pancinema Corp.
image
영화 <패스트 라이브즈>, 출처 CJ ENM
Film <Past Lives>, Courtesy of CJ ENM

“I think Minari captures the immigrant experience for my parent’s generation, however, I felt that Steven Yeun’s character depicted a more modern father, with a sensible touch towards his family. From my experience and knowledge, Koreans in my parents’ generation were much more conservative and stricter, more often than not hiding their emotions and vulnerabilities to hide their weaknesses. The sacrifice shown by Han Yeri’s character was an excellent performance, but it did not feel like it did justice to the sheer barriers Koreans felt when coming to a completely new country and starting their whole life over again, no matter what status they held before.
Past Lives does a good job of showing the gap in culture between Koreans and Korean Americans. We hold onto completely different values and perspectives in matters such as gender, marriage, career. I think people forget how different those communities can be. One is based in a territory where everyone is Korean. The other has been raised in a foreign country where they were considered outsiders until more recent times.”


“<미나리>는 내 부모님 세대의 이민 경험을 포착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스티븐 연이 연기한 인물은 좀 더 현대적인 아버지로 묘사되며, 자기 가족에게 좀 더 섬세하게 접근하는 것으로 느껴졌다. 내 경험을 통해 알고 있는 부모님 세대의 한국인들은 더 보수적이고 엄격하며, 약점을 드러내지 않으려고 감정이나 약한 모습을 숨길 때가 많다. 한예리의 캐릭터가 보여준 희생은 훌륭한 연기였지만, 이전에 어떤 지위를 가졌든 상관없이 완전히 낯선 나라에서 완전히 다른 삶을 시작해야 하는 한국인들이 느꼈을 절대적인 장벽을 제대로 다뤘다고는 느껴지지 않았다.
<패스트 라이브즈>는 한국인과 한국계 미국인이 느끼는 문화 차이를 잘 보여주고 있다. 우리는 젠더, 결혼, 일 같은 문제에 대한 가치나 관점이 완전히 다르다. 사람들이 두 공동체가 얼마나 다른지 생각하지 못하는 것 같다. 한국은 모든 사람이 한국인인 곳이라면, 한국계 이민자들은 최근까지도 자신들을 외부인으로 여겼던 외국 땅에서 성장한 사람들이다.”

One of the first TV shows within the last decade to gain international attention for the portrayal of Korean diasporans, was the Canadian comedy Kim’s Convenience. Premiering in 2016 on the national network, CBC, this comedy depicted the lives of the Kim family and their interactions with their local community members through their patronage of the family run convenience store, and during events held at the local church. Set in downtown Toronto, the show did a relatively good job highlighting the wide range of national, racial, and ethnic diversity of the metropolitan city.

지난 10년간 한국계 이민자를 묘사하여 국제적인 주목을 받은 초기 TV 드라마 작품 중 하나가 바로 캐나다의 시트콤인 <김씨네 편의점>이다. 2016년 국영방송국 CBC에서 처음 방영한 이 시트콤은 김 씨네 가족의 생활과 김 씨네 가족이 운영하는 편의점을 이용하는 지역 구성원들과의 교류와 지역 교회에서 일어나는 사건을 묘사하고 있다. 토론토 시내를 배경으로 한 이 시트콤은 토론토의 다양한 국가, 인종, 민족적 다양성이라는 광범위한 주제를 비교적 잘 드러내고 있다.

Though not the first North American series of its kind in terms of featuring Asian actors in lead roles as ABC’s Dr. Ken premiered the year before, and almost 20 years before that was the international hit show LOST, in which Yunjin Kim and Daneil Dae Kim were part of the main cast and had significant storylines, Kim’s Convenience was the first Canadian show to center the experience of a Korean immigrant couple, and their 2nd generation Korean-Canadian children.

아시아 배우가 주연을 맡은 북미 드라마로는 그보다 1년 전에 방영된 ABC의 <닥터 켄>도 있고, 약 20년 전 세계적인 히트작이었던 <로스트>에서도 배우 김윤진과 대니얼 대 킴이 주요 인물을 맡아 상당한 비중으로 출연하기도 해 <김씨네 편의점>은 아시아 배우들을 주연으로 내세운 최초의 북미 시리즈는 아니었지만, 캐나다 드라마 최초로 한국계 이민자 부부와 그 2세대인 한국계 캐나다인 자녀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다루고 있다.

Produced by Thunderbird Films and the Soulpepper Theatre Company in Toronto, the first season of Kim’s Convenience was relatively well received by Canadian audiences and critics, garnering the show and cast multiple nominations for writing and acting by Canadian awards bodies such as the Association of Canadian Television and Radio Artists (ACTRA Awards), and the 5th Canadian Screen Awards in 2017.

토론토의 선더버드 필름과 소울페퍼극단이 제작한 <김씨네 편의점> 첫 시즌은 시청자와 평론가들에게 호평을 얻어, 작품을 비롯해 출연진들이 캐나다 영화·TV·라디오 아티스트연합 및 2017년 제5회 캐나다 스크린 어워드와 같은 캐나다 시상식에서 다수의 작품상과 연기상 후보에 오르기도 했다.

image
image
캐나다의 시트콤 <김씨네 편의점>, 출처 CBC
Canadian comedy <Kim’s Convenience>, Courtesy of CBC

Yoon, Bang, and Lee were nominated in their respective categories for lead performances, and Phung for Best Supporting Actor. Yoon, Lee, and Phung won, with the show being awarded the Members’ Choice Series Ensemble Award for Best Cast. These nominations and wins were a huge accomplishment, and significant benchmark for shows like it, and showed aspiring writers and filmmakers that audiences do want stories about people of Korean, Asian and other People of Colour.

진 윤, 앤드리아 방, 폴 선형 리는 각각 주연 부문 후보로, 앤드류 펑은 최우수조연상 후보에 올랐고, 진 윤과 폴 선형 리, 앤드류 펑은 수상했으며, 드라마 역시 멤버들이 뽑은 시리즈 최고 출연진 앙상블상을 수상했다. 이러한 수상 후보 지명과 수상은 굉장히 커다란 성취이자 다른 유사한 드라마들에게 중요한 기준점이 되었으며, 작가나 제작자들에게도 시청자들이 한국인이나 다른 아시아인 및 기타 유색인종의 이야기를 원한다는 것을 알려주었다.

Not to say that this hasn’t always been the case, but it can’t be ignored that shows with predominantly People of Colour casts telling stories about the immigrant experience - within Canada and North America as a whole - showing the joys and challenges of living in a country such as Canada with humor and honesty winning the top awards in their local industries leads to the possibility of more being made. And that’s exactly what happened with the K-pop inspired children’s show Gangnam Project.

물론 항상 이런 성공을 거두는 것은 아니지만, 유색인이 출연진 대부분으로 등장해 캐나다와 북미 전체 이민자를 대표해 캐나다 같은 나라에서 사는 즐거움과 어려움을 유머와 진솔함으로 이야기하는 프로그램이 현지 업계에서 최고의 상을 받으면서, 더 많은 작품이 제작될 가능성으로 이어졌는데, 대표적으로 K-팝에서 영감을 받은 청소년 드라마 <강남 프로젝트>가 있다.

Premiered on March 8th, 2024, Gangnam Project is a brightly coloured show in the vein of mid 2000s Disney children’s series. It focuses on 16-year-old biracial Hannah Shin (Julia Kim Caldwell), who supposedly desiring to learn more about her Korean roots and father’s family, travels from Toronto to Seoul to be an English tutor for Chan-Mi (Brianna Kim), leader of the latest K-pop group in the industry. This particular plot point makes no sense because every single member of the cast speaks English fluently having been either born, or lived in Canada for most of their lives.

2024년 3월 8일 첫 공개된 이 작품은 2000년대 중반 디즈니 어린이 시리즈와 유사한 밝은 분위기를 담고 있다. 16세 한국계 혼혈인 한나 신(줄리아 킴 콜드웰)이 자신의 한국 뿌리와 아버지의 가족을 궁금해하며 토론토에서 서울로 와 신인 K-팝 그룹의 리더 찬미(브리아나 킴)의 영어 과외 선생님이 되는 이야기가 중심이다. 전 출연진이 캐나다에서 태어났거나, 거의 평생을 캐나다에서 살아 영어에 능통하다는 점에서 이 줄거리는 다소 말이 되지 않는 부분이다.

Though having a show such as this geared towards younger audiences is good, it suffers from very shallow stereotyped writing and acting that really does nothing but perpetuate Western misconceptions about Korean and Asian culture.

<강남 프로젝트>와 같이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이 있다는 것은 좋은 일이나, 각본은 얄팍하고 전형적이며, 연기 또한 한국 및 아시아 문화에 대한 서구의 오해를 지속시킬 뿐이다.

As this article isn’t meant to serve as a direct critical analysis of the individual shows or films mentioned, it’s important to note how writing, acting, and directing can either help or hinder the narratives of Korea and Korean diasporans in modern media as these narratives should be updated rather than feeling outdated and in a sense attempt to pander to certain demographics.

이 글에서 개별 프로그램이나 영화를 직접적으로 비평 분석할 의도는 없지만, 각본, 연기 및 연출 방식이 현대 미디어에서 한국 또는 한국계 이민자의 서사에 도움이나 방해가 될 수 있다는 점은 마땅히 지적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이러한 서사는 시대에 뒤떨어진 방식으로 특정 인구 집단에 잘 보이려는 것에서 탈피하여 새롭게 바뀌어야 하기 때문이다.

According to the show, Korea doesn’t exist outside of the brightly lit hallways and rehearsal rooms of OME, the “elite K-pop training company”, Hannah, her older brother Leo (Taran Kim), Chan-mi and her fellow trainees live and work at. Apart from a few glimpses of Namsan Tower, some scenes set in her paternal grandmother’s home, there are no exterior shots and scenes or sequences to give audiences a real idea of what Korea looks like.

이 드라마 속 한국은 한나와 그 오빠 레오(태런 킴), 찬미와 동료 연습생이 살고 일하는 OME(엘리트 K-팝 소속사)의 밝은 복도와 연습실 외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남산 서울타워가 잠깐씩 비춰지고, 친할머니의 집이 배경이 되기도 하지만, 몇몇 장면을 제외하고는 실제 한국이 어떤 모습인지 시청자에게 보여줄 만한 외부 촬영 장면이나 시퀀스는 등장하지 않는다.

Instead, it seems the show’s main goal and focus is to play into certain misconceptions people have of the country, misconceptions like K-pop is the only musical art form worth paying attention to and that it’s the only way to relate to citizens because that’s all they themselves care about.

오히려 이 드라마의 주된 목적과 초점은 대중들이 한국에 대해 가지고 있는 선입견을 강화하는 듯 보인다. 출연진들이 오직 K-팝에만 신경 쓰면서 K-팝이 마치 유일하게 주목받는 음악 장르로서 대중과 소통하는 유일한 방식인 것처럼 오해하게 한다.

The irony that there aren’t even any scenes set in Gangnam, the very district in Seoul the show is named after, would be comical if it didn’t stand as an example of how contemporary representations of Korea (or any ethnic country and culture) should show the country to be more than the sum of its parts paid attention in White western media.

더욱이 이 드라마 제목을 딴 서울의 강남은 등장조차 하지 않는데, 이는 서구 백인 미디어에서 주목하는 선택적 요소들 이상으로 한국(혹은 어떤 민족 국가나 문화)의 동시대성을 보여줄 수도 없다는 점에서 우스꽝스러울 정도의 아이러니다.

To gain some more insight into this from an academic viewpoint on this, Dr. Areum Jeong, Interdisciplinary Scholar and educator of Korean cultural studies at Arizona State University shared some of her thoughts on how representation of contemporary and modern Korea - K-pop, film, dramas, and fashion - changed to show contemporary and younger 1st generation Korean immigrants and 2nd and 3rd generation Korean-Americans / Asian-Americans living in the US, changed over time.

애리조나주립대에서 한국문화연구를 가르치는 학제간 연구자이자 교육자인 정아름 박사는 동시대 및 현대 한국의 대표성, 즉 K팝, 영화, 드라마, 패션이 어떻게 변화했으며, 이를 통해 미국에 정착한 1세대 한국계 젊은 이민자 및 2, 3세대 한국계 미국인/아시아계 미국인을 묘사하는 방식이 시대에 따라 어떻게 변해왔는지에 대한 학계의 시각을 공유해준다.

“Many students come to my classes having watched Parasite (2019) or Squid Game (2021) or maybe a few recent dramas on Netflix. Some students have had more exposure to Korean culture because they are enthusiastic fans of K-pop idols.
While these are all fine works, they do not represent the entirety of Korean culture and society so I feel a responsibility to provide background context, for example, on how the Korean Wave became the Korean Wave, how there were many diverse and interesting artists before K-pop was even coined as a term that we use today, how K-pop music is not purely Korean, but borrows from/is influenced by many different cultures, etc.”


“많은 학생이 <기생충>(2019)이나 <오징어 게임>(2021), 혹은 넷플릭스의 최근 드라마 몇 편을 보고 내 수업에 들어온다. 일부 학생은 K-팝 아이돌의 열렬한 팬으로서 한국 문화에 더 많이 노출된 경험이 있다. 이 작품들은 훌륭하지만 한국 문화나 사회 전체를 대표하지는 않기 때문에 한류가 인기를 얻게 된 과정, 우리가 현재 접하는 K-팝 이전에도 다양하고 흥미로운 아티스트들이 있었다는 사실, K-팝이 완전히 한국적이지만은 않으며 다양한 문화로부터 영향을 받았거나 이를 차용했다는 사실 등의 배경과 맥락을 설명해야 한다는 책임감을 느낀다.”

What Gangnam Project gets wrong, is unfortunately not unique to the show. Because the 2023 raunchy girl’s trip comedy Joy Ride and the 2023 Netflix series XO, Kitty - the sequel to the 2018 To All the Boys I’ve Loved Before screen adaptation of the book series by Jenny Han, who also served as creator of the series, do the same thing. But all hope is not lost, as there are plenty of films and other shows about the experiences of 1st and 2nd generation Koreans in North America.

안타깝게도 <강남 프로젝트>에서 발견되는 실수는 이 드라마만의 문제가 아니다. 호색적 여성 여행 코미디 <조이 라이드>(2023), 제니 한의 원작을 바탕으로 한 2018년 영화 <내가 사랑했 던 모든 남자들에게>(2018)의 후속편인 넷플릭스 시리즈 <엑스오, 키티>(2023) 역시 같은 실수를 했다. 하지만 다행히도 북미 1, 2세대 한국인의 경험을 담은 영화나 드라마는 아주 많다.

넷플릭스 시리즈 <성난 사람들>
Netflix Series <BEEF>

The most notable show is BEEF (2023), the series that gave a dark and angsty angle to the life of Korean Americans. Created by Lee Sung Jin, the everyday frustrations, annoyances, and misconstrued events we all face get exaggerated and heightened to a level where a simple instance of losing out on a parking spot escalates into existential crises for all the characters.
BEEF is a great example of modern-day narrative contemporary storytelling about the lives of Asian Americans, where their racial identity sits secondary to the main contention of the plot but isn’t completely ignored.


가장 눈에 띄는 것은 한국계 미국인의 어둡고 불안한 삶의 모습을 담은 시리즈 <성난 사람들>(비프)(2023)이다. 이성진 감독이 연출한 이 시리즈는 누구나 마주하는 일상적인 좌절, 짜증, 오해를 과장하고 극대화하는데, 주차 자리를 놓치는 사소한 사건을 모든 캐릭터들의 존재론적 위기로까지 끌어 올린다. <성난 사람들>은 아시아계 미국인의 삶에 대한 현대적인 서사 스토리텔링의 훌륭한 예로, 인종적 정체성은 주된 갈등이 아닌 부차적인 지위에 머물러 있지만 그렇다고 완전히 무시되지는 않는다.

What makes BEEF contemporary isn’t that the story is just set in the present day, it’s the way the topics of gender dynamics, family and generational trauma, social media, religion, and wealth are all approached. The thoughts and feelings of the characters are influenced by the world they live and grew up in. These characters, Paul Cho (Young Mazino), his older brother Danny (Steven Yeun), Amy (Ali Wong), her husband George Nakai (Joseph Lee), their daughter June (Remy Holt), and George’s mother Fumi (Patti Yasutake), are all relatable in that they’re from generations - Millennial and Gen Z - that watched the world change drastically with the advent of the internet, cell phones, social media, and how they all intercept and irrevocable changed the way we relate to each other, our world, and even art.

<성난 사람들>이 동시대성을 갖는 이유는 그 이야기의 배경이 현재이기 때문이 아니라 성 역학, 가족, 세대별 트라우마, 소셜 미디어, 종교, 부와 같은 주제를 모두 다루기 때문이다. 인물의 생각이나 감정은 그들이 살아가고 성장한 세상의 영향을 받는다. 등장인물인 폴 조(영 마지노)와 그의 형 대니(스티븐 연), 에이미(앨리 웡)와 그의 남편 조지 나카이(조셉 리), 딸 준(레미 홀트), 조지의 어머니 후미(패티 야스타케)는 밀레니얼 세대와 Z 세대를 아우른다. MZ 세대는 인터넷, 휴대 전화, 소셜 미디어의 발달로 세상이 빠르게 변한 것을 목격했고, 이러한 발달은 인간관계와 세상, 심지어 예술과 관계 맺는 방식에 개입해 이를 확실히 바꿔 놓았다.

Everything about the technical elements of its production - set design, costuming, music, editing, and acting - gives it a contemporary and classic feel such that in ten years or more it won’t feel dated.

디자인, 의상, 음악, 편집, 연기에 이르기까지 이 작품의 모든 기술적 요소는 10년 후에도 낡아 보이지 않을 만큼 현대적이면서도 클래식한 느낌을 준다.

image
image
넷플릭스 시리즈 <성난 사람들>
Netflix Series <BEEF>

“There are the long-standing stereotypes of the dragon lady, tiger mom, unpopular math nerd, and difficult relations with North Korea in several productions featuring characters based on Korean Americans. I am also aware that in certain contexts or media outlets, the Korean Wave is viewed as a propaganda tool that the Korean government created for soft power, which is a false claim. I try to explain how the Korean Wave is a receptive phenomenon. And some media outlets focus only on the negative issues, such as environmental waste, mental illness, or suicide -- the so-called “dark side” of Korean entertainment. While these are critical issues, there are two sides to every industry, and Korean entertainment is certainly not the only one who has to deal with such issues.” - Dr. Areum Jeong.

“드래곤 레이디(전형적 악녀), 타이거 맘(치맛바람이 센 엄마 캐릭터), 인기 없는 수학 덕후, 어려운 남북 관계 등 한국계 미국인을 다룬 많은 작품에서 오랫동안 지속적으로 등장해 온 스테레오 타입들이 있다. 특정 맥락이나 매스컴에서는 한류를 한국 정부가 소프트 파워를 위해 만든 선전 도구로 보는 경우가 있지만, 이는 틀린 주장이다. 나는 한류가 수용적 현상이라는 것을 설명하려고 노력해 왔다. 일부 매스컴에서는 환경 폐기물, 정신병, 자살같이 한국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소위 ‘어두운 면’만을 부각한다. 중요한 문제이긴 하나, 모든 산업에는 양면이 있으며, 한국 엔터테인먼트 산업에만 이러한 문제가 있는 것도 아니다”라고 정아름 박사는 지적한다.

In BEEF there aren’t any overtly offensive racial, ethnic, or gendered stereotypes about the characters and their portrayal. Instead what serves to be offensive to them and to the audience comes through the actions of the characters that aren’t predicated on prejudice. But, because BEEF doesn’t seek to act as though race doesn’t play a part in the lives of the characters, the writers slickly incorporated commentary using different methods such as the set design and of course, the dialogue. There were references to the complicated history between Korea and Japan by way of Danny’s comments on George’s relationship to Amy, and Fumi perhaps being an allusion to famous Japanese artist Yayoi Kasuma -, and the sense of entitlement wealthy white women exhibit over the bodies, time, and work of women of color such as exhibited with the interactions between Jordan (Maria Bello) and Amy.

<성난 사람들>에는 등장인물이나 그 묘사에 대해 노골적으로 불쾌감을 유발하는 인종적, 민족적 또는 성별 스테레오 타입은 등장하지 않는다. 극 중 캐릭터나 시청자들은 오히려 편견에 기반해 행동하지 않는 등장인물을 통해 불쾌감을 느끼게 된다. 그렇다고 해서 이 작품은 등장인물의 삶에서 인종이 아무런 역할을 하지 않는 것처럼 보이게끔 애쓰지도 않는다. 작가진은 세트 디자인은 물론이고 대화와 같은 다양한 요소들을 활용하여 문제의식을 극 속에 자연스럽게 녹여낸다. 예를 들어 대니가 조지와 에이미와의 관계에 대해 말하는 내용은 한국과 일본의 복잡한 역사적 관계를 떠올리게 만든다. 후미라는 인물은 저명한 일본 예술가 쿠사마 야요이를 암시하는 듯하다. 그뿐 아니라 조던(마리아 벨로)과 에이미의 상호작용을 통해 유색인종 여성의 신체, 시간, 그리고 일에 대해 부유한 백인 여성이 드러내는 특권 의식을 엿볼 수 있기도 하다.

Other great examples of contemporary representations of Koreans in North American media are the films by award-winning South Korean born American filmmaker Kogonada. In his 2017 drama Columbus starring John Cho, architecture serves as the main topic. As Cho’s character Jin discusses the turn of the century designs with an enthusiast of the art form in the small Ohio town, he begins to understand his father, who himself is a world-renowned architect whose work in Korea and America created an emotional divide between them. Jin’s vocation as an interpreter serves as an interesting juxtaposition to his inability to communicate with the man he resented for most of his life.

북미 매체 속 동시대 한국인을 대표하는 또 다른 좋은 예는 한국 출신 미국인 영화 제작자이자 수상 경력이 있는 코고나다 감독의 작품들이다. <콜럼버스>는 존 조가 주연을 맡았고 건축을 주제로 한 코고나다의 영화다. 존 조가 분한 진이라는 캐릭터는 오하이오의 작은 마을에서 세기를 바꾼 디자인에 대해 한 열렬한 건축 애호가와 대화를 나누면서 그의 아버지를 이해하기 시작한다. 진의 아버지는 한국과 미국에서 작품 활동을 한 세계적인 건축가이지만, 그와 진 사이에는 감정적인 거리가 존재했다. 번역가라는 직업을 가진 진이 거의 평생 앙금을 품고 산 아버지와 제대로 소통하지 못한 부분은 흥미로운 대비를 이룬다.

image
image
영화 <콜럼버스>, 출처 (주)영화사오원
Film <Columbus>, Courtesy of Film Only One

Stories such as Columbus, and After Yang, episodes of Pachinko, and more recently the newest addition to the Star Wars universe, The Acolyte starring Lee Jung-jae, shows how creatives like him, Lee Sung Jin, Soo Hugh (the showrunner of Pachinko), Celine Song, and Anthony Shin who wrote and directed Riceboy Sleeps.

<콜럼버스>를 비롯해 <애프터 양>과 <파친코> 에피소드들, 그리고 배우 이정재가 출연한 스타워즈 세계관 최신작인 <애콜라이트>도 코고나다의 작품이며, 이와 같은 작품들은 코고나다, 이성진, 수 휴(<파친코> 제작자), 셀린 송, <라이스보이 슬립스>의 각본과 연출을 맡은 앤서니 신이 얼마나 뛰어난 제작자들인지 보여준다.

It’s these types of narratives that inspire young filmmakers like Seo to embrace their identity but also look beyond it when crafting their own stories to tell. All they need is the chance and encouragement to share them.

이런 작품들이야말로 자신의 정체성을 포용하면서도 자신만의 이야기를 통해 그 너머까지 볼 수 있도록 서지훈과 같은 젊은 영화 제작자들에게 영감을 준다. 이들에게 필요한 것은 기회와 격려다.

“I think for sure that equal opportunity and inclusion in diversity is going to create rich new content because there has been so much untapped material and talent. However, I would recommend that we judge the quality of the work based on merit rather than hype over a quick fashion trend. Squid Game was in development for around 10 years before it took off and shook the world. Stories only get better through time as they marinate if the writer is committed and passionate about the project. People want instant success, but every setback challenges the writer to make it better, more accessible, unpredictable. That is the best takeaway I have learned from film school, something you have to realize when you let go of your insecurities and embrace the shortcomings.”

“이제까지 다뤄진 적 없는 소재나 재능이 많기에 기회가 공평하게 주어지고 다양성을 포용한다면 더욱 새롭고 풍부한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게 될 거라고 믿는다. 하지만 반짝 유행에 기반하기보다는 작품이 가진 훌륭한 가치에 기반해 작품을 판단했으면 좋겠다. 10년 가까이 준비했던 <오징어 게임>은 결국 세상을 흔들었다. 작가가 작품을 위해 열정을 갖고 노력한다면 이야기는 시간이 지나면서 얼마든지 더 좋아질 것이다. 사람들은 즉각적인 성공을 원하지만, 벽에 막힐 때마다 작가들은 더 낫고, 더 접근하기 쉽고, 더 예상치 못한 일을 해낸다. 이것은 내가 영화 학교에서 배운 가장 좋은 교훈이기도 하며, 불안을 내려놓고 단점을 받아들일 때 깨닫게 되는 것이기도 하다.”

In order for contemporary narratives worthy of the performers and the audience, what happens in the development of these narratives is just as important. Care and respect must be taken because whether a show is written for children or for adults, the audience has to feel as though they’re not being pandered to or patronized. The same goes for the performers, as this very thing is what led to the untimely and incomplete end of Kim’s Convenience, as the cast became unsatisfied with the way their characters were being written over time and the absence of Korean writers in the writer’s room following the departure of Ins Choi.

연기자나 관객들에게 동시대의 서사가 유효하려면 이러한 서사를 만드는 과정 또한 중요하다. 아동이나 성인을 위한 작품을 쓸 때는 관객을 이용하거나 가르치지 않도록 더욱 주의와 존중이 필요하다. 연기자 역시 마찬가지이다. 연기자가 자신이 맡은 배역의 묘사에 점점 만족하지 못하고 인스 최가 시나리오 팀을 떠나 한국인 각본가가 사라지자 <김씨네 편의점>도 갑작스럽게 방영을 종료했다.

image
image
시트콤 <김씨네 편의점>, 출처 CBC
comedy <Kim’s Convenience>, Courtesy of CBC

In speaking about contemporary narratives of Korean diasporan stories, it would of course be very remiss of me to not mention actors, because while there haven’t been that many shows and films made with the intention of highlighting Korean diaspora stories as their main narrative, there have been many roles made available for Korean performers living and working in North America.

한국계 이민자에 대한 동시대 서사에서도 배우 이야기를 빼놓을 수가 없다. 한국계 이민자 스토리를 메인 서사로 강조하려는 프로그램이나 영화는 많지 않았지만, 북미에서 활동하는 한국계 배우들이 맡을 수 있는 역할은 많았다.

As mentioned earlier, one of the first examples of a mainstream successful primetime show LOST, this genre blending global mega hit served as a launchpad for the careers of Yujin Kim and Daniel Dae Kim, who both had solid careers before then. But starring in one of the biggest shows in North American television history does help with future endeavors. Andrea Bang has been forging her own path in with critically well received indie films like Luce (2019), Stay the Night (2022), and the drama series A Million Little Things (2021 - 2023). Just like Jee Hoon Seo, Bang is developing her own stories as a writer and Executive Producer.
Though Choi had to walk away from the screen adaptation of Kim’s Convenience, he didn’t walk away from the story. Serving as an excellent example of turning disappointment into new beginnings, Choi has returned to the stage to continue the story of the Kim family.


앞서 언급했던 <로스트>는 프라임 타임에 주요 매체에서 성공을 거둔 초기 작품 중 하나로, 여러 장르가 혼재된 이 작품이 전 세계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면서 그 이전부터 탄탄한 커리어를 쌓아오던 김윤진과 대니얼 대 김의 커리어에 보다 큰 발판이 됐다. 북미 드라마 사상 최대 규모의 드라마에 출연한 일은 후발 주자들에게도 도움이 됐다. 앤드리아 방은 평단에서 좋은 평가를 받은 인디 영화 <루스>(2019)와 <스테이 더 나이트>(2022), 드라마 시리즈 <어 밀리언 리틀 씽즈>(2021-2023)를 통해 계속해서 자신의 커리어를 만들어 가고 있다. 서지훈과 마찬가지로 앤드리아 방 역시 각본가이자 책임 연출가로서 자신만의 작품도 제작 중이다. 인스 최는 <김씨네 편의점> 드라마에서는 하차해야 했지만, 스토리에서까지 손을 뗀 것은 아니다. 실망을 새로운 시작의 발판으로 삼은 인스 최는 무대로 돌아와 김 씨네 이야기를 계속했다.

In London, England, the Korean-Canadian writer has seized the opportunity to do justice to his story and the immigrant experience by producing a reprise of the play. Only this time instead of playing Jung, he takes on the role of “Appa”, which is quite fitting I think, as that’s probably the best example of how resilient Korean diasporans are, because building a new life away from your homeland is a great teaching experience in the perseverance required to make it in the North American media industry.

한국계 캐나다인 작가인 인스 최는 영국 런던에서 연극을 다시 제작하며 자신의 이야기와 이민자 경험을 제대로 다룰 기회를 잡았다. 하지만 이번에는 정 역할이 아니라 ‘아빠’ 역할을 맡았는데, 한국계 이민자들의 회복력이 얼마나 뛰어난지 보여주는 최고의 예시라는 점에서 이 역할은 꽤나 잘 어울린다고 생각한다. 고국을 떠나 완전히 낯선 곳에서 새로운 삶을 구축하는 것은 북미 미디어 업계에서 성공하는 데 필요한 인내심을 기르는 데 훌륭한 경험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