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영화

cover img

No.1 K-Movie

숫자로 본 ‘장재현의 순간들’
Director Jang Jae-hyun's Career
by the Numbers

글 문다영(프리랜서 기자)
By Moon Da-young, Freelance Writer

‘겁나 험한 것’으로 ‘겁나 찬란한’ 기록을 세웠다. <파묘>의 장재현 감독 이야기다. 최연소 천만 감독, 2024년 첫 천만 영화의 주역, 장재현 감독은 올해 1분기 영화계에서 단연 최고 화제의 인물로 손꼽힌다. <파묘>는 연기를 ‘겁나’ 잘한 배우들, 작정하고 버무린 애국 요소로 연일 화제가 됐다. 그 뒤에 모든 것을 지휘한 마에스트로, 장재현 감독이 있다. <파묘> 전후로 나뉘게 된 장재현 감독의 영화 인생을 숫자로 들여다본다.
A director who set an “awfully brilliant” record with “something awfully scary.” These words refer to Jang Jae-hyun, the director of Exhuma. The youngest director to make a film that sold 10 million tickets at the box office and the driving force behind the first film to reach that milestone in 2024, Jang Jae-hyun has been the most talked-about Korean filmmaker in the first quarter of the year. Exhuma has been in the spotlight thanks to an “awfully” talented cast and patriotic elements that Jang has unabashedly incorporated into the film. At the helm of it all stands a single maestro orchestrating all elements. Let’s take a look at the numbers that define Jang’s cinematic journey before and after Exhuma.




# 32  

32일 만의 천만 관객 동원 & 국내 개봉작 중 역대 32번째 천만 영화
32nd film to reach 10 million at the Korean box office (in just 32 days)

# 32

32일 만의 천만 관객 동원 & 국내 개봉작 중 역대 32번째 천만 영화
32nd film to reach 10 million at the Korean box office (in just 32 days)

장재현 감독의 <파묘>는 32와 떼려야 뗄 수 없는 기록의 연(緣)을 맺고 있다. <파묘>는 거액의 돈을 받고 수상한 묘를 이장한 풍수사와 장의사, 무속인들에게 벌어지는 기이한 사건을 담은 오컬트 미스터리 영화다. 풍수지리와 무속신앙 등 한국적 소재를 중심으로 했고, 장르도 오컬트인지라 대중적으로 인기를 얻기 힘든 작품이었지만 개봉 초반부터 배우들의 연기력, 영화 내 숨겨진 메시지 등이 화제가 되면서 무서운 기세로 흥행의 새 역사를 써 내려갔다.
Jang Jae-hyun’s Exhuma is inextricably tied to the number 32, through a remarkable record-setting run. Exhuma is an occult mystery film depicting bizarre events that happen to a feng shui master, a funeral director, and shamans who move a dubious grave for a hefty sum of money. Centered around Korean themes like feng shui and shamanism, the film, which falls into the occult genre, was not expected to achieve mainstream popularity. Nonetheless, from the early days of its release, the film garnered attention for the excellent performances by its cast and its hidden messages, quickly making history with its impressive box office run.

image
image
영화 <파묘>, 출처 (주)쇼박스
Film <Exhuma>, Courtesy of Showbox Corp.

<파묘>는 개봉 3일째 100만 관객을 돌파하며 흥행 드라이브를 걸었고 10일째 500만 명, 16일째 700만, 18일째 800만, 24일째 900만 돌파에 이어 32일째 1000만 관객까지 파죽지세로 내달렸다. 이 같은 흥행 속도는 2023년 최고 흥행작으로 꼽히는 <서울의 봄>보다는 하루 빠르고 <범죄도시3>와는 타이 기록이다.
Exhuma broke through the 1 million-viewer mark on its third day of release, setting the pace for its box office success. By its 10th day, it had reached 5 million viewers; by the 16th, 7 million; by the 18th, 8 million; by the 24th, 9 million, and finally hitting the 10 million mark on its 32nd day, a remarkable feat. The impressive run even outpaced 12.12: The Day, the highest-grossing film of 2023 by a day, and matched the record set by The Roundup: No Way Out.

개봉 32일째이던 3월 24일 천만 관객을 돌파한 <파묘>는 또 한 번 32라는 숫자와 엮인다. 올해 첫 천만 영화인 <파묘>가 국내 개봉작 중 역대 32번째로 천만 관객을 동원한 영화가 된 것이다. 한국 영화만으로는 23번째 천만 영화다.
By reaching the 10 million mark on the 32nd day of its release on March 24, Exhuma would be tied to the number 32. The first film this year to reach the milestone, it also became the 32nd film released in Korea to do so. Among Korean films, it is the 23rd film to achieve this feat.




# 3  

3번째 장편, 3으로 쓴 새 역사
3rd feature film and writing a new chapter with
the number 3

# 3

3번째 장편, 3으로 쓴 새 역사
3rd feature film and writing a new chapter with the number 3

<파묘>는 장재현 감독의 세 번째 장편이다. 단편 <12번째 보조사제>를 시작으로 영화계에 뛰어든 장재현 감독은 <검은 사제들><사바하>에 이은 세 번째 장편 영화 <파묘>로 ‘천만 감독’ 타이틀을 얻었다. 천만 관객 돌파 후 장 감독은 “손익분기점만 넘기자는 생각으로 만들었다”면서 기대 그 이상의 성적에 ‘어벙한 기분’이었다고 전했다.
Exhuma is Jang Jae-hyun’s third feature film. Debuting with his short film 12th Assistant Deacon, he followed up with The Priests and Savaha: The Sixth Finger. With Exhuma, he earned the title of “10 Million Director.” After reaching the 10 million mark, Jang commented that his goal was just to break even with the film, and that he was “feeling overwhelmed” by its tremendous success.

영화 <검은 사제들>, 출처 CJ ENM
Film <The Priests>, Courtesy of CJ ENM
영화 <사바하>, 출처 CJ ENM
Film <SVAHA : THE SIXTH FINGER>,
Courtesy of CJ ENM
영화 <파묘>, 출처 (주)쇼박스
Film <Exhuma>, Courtesy of Showbox Corp.

또 하나의 3. 장재현 감독이 천만 관객을 돌파한 최연소 감독이 된 데에는 3이라는 숫자가 주효했다. 장재현 감독의 나이는 43세. 그가 <파묘>로 천만 관객을 돌파하기 전까지 ‘최연소 천만 감독’ 타이틀은 <극한직업>의 이병헌 감독(당시 44세)이 쥐고 있었다. 나이의 3이라는 숫자가 장재현 감독에게 또 다른 기쁨을 전했고, 기존 기록을 뒤집는 새로운 역사를 쓰게 해준 셈이다.
There is another significant connection to the number 3, which is related to Director Jang Jae-hyun becoming the youngest director to surpass the 10 million-viewer mark. At 43 years old, Jang took the title of youngest director to reach 10 million from Director Lee Byeogn-heon, who held it for Extreme Job, which was released when he was 44. In this way, the number 3 in his age signified another record set by Jang.




# 105

장재현 감독이 새로 쓴 기록에 이르기까지 걸린 시간
The years it took for Director Jang Jae-hyun to set a new record

# 105

장재현 감독이 새로 쓴 기록에 이르기까지 걸린 시간
The years it took for Director Jang Jae-hyun to
set a new record

최초의 한국영화로 기록된 작품은 1919년 10월 27일 단성사에서 공개된 김도산 극본·연출작 <의리적 구토>다. 1919년을 기점으로 105년 만인 2024년, 장재현 감독이 일을 냈다.
The first ever Korean-made film, Righteous Revenge, written and directed by Kim Do-san, was released on October 27, 1919 at Dansungsa Theater. Fast forward 105 years to 2024, and Director Jang Jae-hyun is making his mark in the industry.

호불호가 심한 장르, 대중보다는 특정 관객에게 사랑받는 마니악한 장르. 오컬트가 지닌 핸디캡은 매우 강력하다. 비주류에 속하는 이 오컬트 장르로 장재현 감독이 천만 영화의 기록을 썼다는 건 놀라운 일이다. 그간 오컬트 장르라는 한 우물만 파 온 그 뚝심으로 대중적 인기까지 거머쥔 것이다. 이는 단순히 한 줄 서술에 그치기엔 부족한 감이 있다. 105년 한국영화 역사에 있어 마니아적 장르인 오컬트가 이토록 각광받은 건 최초의 일이기 때문이다.
Occult films represent a polarizing fringe genre that has a high appeal to specific audiences but not the general public. The inherent challenges when it comes to having a “hit” in this genre are significant. This is why Jang Jae-hyun’s achievement in reaching 10 million viewers with a film in a non-mainstream genre is so remarkable. He captivated general audiences with his unwavering commitment to the film’s theme, which is why a brief description does not do him justice. In the 105-year history of Korean cinema, this is the first time that such a niche genre like occult films has received such widespread acclaim.

한국에서 오컬트 장르 영화의 역사는 땅에 비유하자면 땅이 쩍쩍 갈라진 척박한 대지였다. 국내에서 오컬트물 영화는 손에 꼽을 정도다. 1981년 영화 <깊은 밤 갑자기>가 고립된 집을 배경으로 벌어지는 초자연적 공포와 광기를 다룬 한국 오컬트 영화로 손꼽힌다. 고(故) 고영남 감독의 <깊은 밤 갑자기>는 한국 공포영화의 걸작으로 분류돼 2016년 미국 블루레이 출시사인 몬도 마카브로 사에서 <Suddenly in the Dark>라는 제목으로 디지털 리마스터링을 해 발매된 바 있고, 2018년엔 국내에서 37년 만에 4K 리마스터링으로 재개봉된 바 있다.
In Korea, the occult film landscape has often seemed parched and barren, with only a handful of such films produced domestically. The 1981 film, Suddenly in the Dark, stands as a notable Korean occult film, portraying supernatural horror and madness against the backdrop of an isolated house. Directed by the late Go Yeong-nam, Suddenly in the Dark is considered to be a Korean horror classic. In 2016, it was digitally remastered and released under the same title by US-based Blu-ray distributor Mondo Macabro. In 2018, it was re-released in Korea with a 4K remastering, 37 years after its original release.

그 이후 꼽을 수 있는 작품이 <퇴마록>(1998)이다. 신현준, 추상미, 안성기 등 당대 최고의 배우들이 출연했지만 원작소설의 맛을 담아내지 못하며 처참한 평가를 받았다. 그나마 한국형 오컬트를 확장했다고 평가받는 인기작이 나홍진 감독의 <곡성>이다. 2016년 당시 누적관객 687만 명을 동원하며 어마어마한 화제가 됐고 유행어, 장면 패러디 등도 이어졌다. 하지만 호불호는 확실히 나뉘었다.
Another notable Korean occult film is The Soul Guardians (1998). This film starred Shin Hyun-joon, Chu Sang-mi, and Ahn Sung-ki, all top actors at the time, but received poor reviews, with many saying that it failed to capture the essence of the original novel. A more popular film that is regarded as having expanded the Korean occult genre is The Wailing, directed by Na Hong-jin. Released in 2016, it attracted a cumulative audience of 6.87 million, sparking an enormous buzz and leading to trending phrases and scene parodies. However, opinions on the film were sharply divided.

그러다 보니 장재현 감독이 척박했던 땅에서 피워 낸 <파묘>의 천만 관객 기록은 오컬트 장르 팬들에게도, 한국영화 역사 내에서도 자축할 일이 아닐 수 없다. 한 우물만 파다 수맥을 제대로 터뜨렸다는 평가가 나오는 이유다. 특히 <파묘>의 영향으로 국내의 오컬트 장르 영화 및 소설 등 다양한 작품들이 다시 주목받는 현상이 벌어지고 있으며, 심지어 일부 팬들 사이에서는 망작에 그친 <퇴마록>을 장재현 감독이 영화화해 달라는 요청도 빗발치고 있다.
This is why Jang Jae-hyun’s achievement with Exhuma reaching 10 million viewers in this barren landscape is cause for celebration, not only for fans of the occult genre but also in the broader context of the history of Korean cinema. It is the equivalent of striking a rich vein of water after diligently digging for a well. Thanks to Exhuma, the occult genre, for both films and novels, has been gaining renewed attention in Korea. There is even a barrage of requests from some fans for Jang to re-adapt the previously unsuccessful movie, The Soul Guardians.




# 5  

<파묘>를 완성한 5년, 5년 만의 컴백
5 years to complete Exhuma and make a comeback

# 5

<파묘>를 완성한 5년, 5년 만의 컴백
5 years to complete Exhuma and make a
comeback

image
image
베를린국제영화제에 참석한 장재현 감독, 출처 (주)쇼박스
Director Jang Jae-hyun at Berli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Courtesy of Showbox Corp.

장재현 감독의 <파묘>는 정식 개봉 전 제74회 베를린국제영화제에서 처음 공개됐고, 외신들의 호평을 받았다. 좋은 평가 속에 출발선에 선 <파묘>는 가죽 재킷에 컨버스화를 신는 MZ 무당, 신들린 듯한 대살굿 연기 등 호평 속에 입소문을 탔다. 5년 만에 들고 나온 작품이 이토록 사랑받은 데에는 5년 동안의 부단한 노력이 있었다.
Jang Jae-hyun's Exhuma premiered at the 74th Berli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before its official release, where it received positive reviews from the media. With strong reviews from the outset, the film quickly gained attention through word-of-mouth for striking elements like the Generation MZ shaman wearing a leather jacket and Converse sneakers, as well as the hauntingly intense ritual dance performances. Considering this was Jang Jae-hyun’s first film after a five-year hiatus, its warm reception speaks volumes about the dedication and effort he poured into its creation.

장재현 감독은 시나리오를 구성하는 동안 엉덩이를 붙이고 앉아 있지 않았다. 무속인부터 풍수지리사, 장의사 등을 만나 수없이 대화했고 발이 닳도록 현장을 따라다녔다고. 이들과 2년 가까이 부대끼며 함께 묘 이장을 하는 과정에서 캐릭터와 이야기를 쌓아 나갔다. 장재현 감독이 따라나선 이장 현장만도 15여 곳으로 알려진다. 장재현 감독이 동분서주하며 끌어 모은 이야기는 겹겹이 입체감을 얻었고 캐릭터들도 다채로운 생명을 얻었다. 자신의 안에 품고 있던 이야기를 세상에 내놓기까지 걸린 5년의 시간이 <파묘>의 완성도를 더욱 높인 셈이다.
While writing the film’s screenplay, Jang never simply sat still. He met and talked with shamans, feng shui experts, and funeral directors countless times, visiting so many different locations he even wore out his shoes. For nearly two years, he stayed close to them, participating in grave relocations and gradually building characters and narratives from these experiences. Known to have visited over 15 grave relocation sites, the stories Jang meticulously gathered and crafted gained layers of depth, with his characters coming to life with rich complexity. The five years it took to bring these stories to light undoubtedly enhanced the intricacy of Exhuma.




# 79  

<파묘>로 79년 전 아픔을 소환하다
Summoning the pain from 79 years ago with Exhuma

# 79

<파묘>로 79년 전 아픔을 소환하다.
Summoning the pain from 79 years ago
with Exhuma

장재현 감독의 <파묘>엔 유독 의미 있는 숫자들이 많다. 그 숫자들을 모두 모으고 모으면 79년 전, 1945년 8월 15일 광복의 그날을 소환한다. 장재현 감독이 <파묘>에 담아 낸 애국심의 증표들은 이미 너무나도 잘 알려져 있지만 다시 한번 되새겨도 부족하지 않을 만큼 우리 민족의 역사에 의미가 깊은 숫자들이기에 조명할 가치가 있다.
Exhuma is replete with meaningful numbers. When these numbers are pieced together, they evoke the day of the country’s liberation, August 15, 1945 – 79 years ago. While the patriotic clues Jang leaves for viewers are well-known, it is worth revisiting these numbers, as they hold a deep meaning in Korea’s history, and their importance deserves to be emphasized.

79년 전을 떠올리게 한 첫째 증표는 김상덕(최민식), 이화림(김고은), 윤봉길(이도현), 고영근(유해진) 등 <파묘> 속 주인공들의 이름이다. 여기에 오광심, 박자혜 등 주요 인물들까지, 모두 독립운동을 했던 인물들의 이름을 그대로 따왔다. 두 번째 증표는 주인공들의 차량번호로 0301, 1945, 0815 등 일제강점기 3·1운동, 독립한 해와 날짜 등을 가리키고 있다.
The first clue that harkens back to 79 years ago is the names of the main characters in Exhuma, such as Kim Sang-deok (played by Choi Min-sik), Lee Hwa-rim (played by Kim Go-eun), Yoon Bong-gil (played by Lee Do-hyun), and Ko Yeong-geun (played by Yoo Hae-jin). These, as well as the names of other key characters, including Oh Gwang-shim and Park Ja-hye, were directly taken from actual individuals involved in Korea’s independence movement. The second clue is found in the license plate numbers used by the characters, such as 0301, 1945, and 0815, which point to significant dates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March 1 Movement and the year and date of independence, respectively.

image
<파묘> 촬영 현장에서 모니터링 중인 감독과 배우들,
출처 (주)쇼박스
Director and actors reviewing footage on the monitor, Courtesy of Showbox Corp.

장재현 감독이 79년 전의 인물과 아픈 역사를 <파묘>에 소환한 건 우연히 마주친 이정표 때문이었다. 장재현 감독은 천안을 지나던 중 이정표에서 독립기념관을 보고 그곳에 들어섰다가 오열했다고. 민족을 위해 음지에서 고생했던 이들을 향했던 그 눈물을 <파묘> 시나리오에 담았다. 장재현 감독은 “감히 제가 소환하고 싶었다”고 말한다. 우리 땅이 그동안 말없이 감내해 온 깊은 상처와 두려움, 그리고 트라우마를 꺼내고 싶었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파묘>를 관람하는 관객들이 무의식적인 후련함을 느끼게 하고 싶었다고 한다. 혹자는 장재현 감독의 이러한 의도를 놓고 ‘국뽕’이라거나 ‘반일’이라 지적한다. 그러나 장재현 감독의 마음은 이 땅에서 나고 자란 한국인으로서 가질 수 있는 당연한 심정이지 않았을까. ‘국뽕’이라기보단 ‘되돌아본 역사’이고, ‘반일’이라기보단 ‘어루만진 아픔’이었을 터다.
Director Jang Jae-hyun decided to invoke these figures and the painful history of 79 years ago in Exhuma due to a chance encounter with a signpost. While passing through Cheonan, Jang saw a sign that led to him stopping by the Independence Hall of Korea, where he broke down in tears. He distilled the tears he shed for those who suffered for the nation into the screenplay of Exhuma. Jang revealed, "I wanted to and dared to summon the past." He wanted to bring out the deep scars, fears, and trauma that his country endured silently for so long. Through this, he hoped that he could bring an unconscious sense of relief to audiences watching Exhuma. Some criticize his intent as “nationalistic” or “anti-Japanese.” However, couldn't this be a natural sentiment for a Korean born and raised in his own land? Rather than being “nationalistic,” it might be “reflecting on history,” and rather than being “anti-Japanese,” it could be seen as “wound healing.”

다만, 딱 한 가지 장재현 감독이 의도하지 않았던 우연의 명장면도 있다. 극 중 김상덕이 묫자리에 동전을 던지는데 화면에 이순신 장군이 그려진 면이 잡힌다. 이는 영화의 항일 메시지와 완벽하게 들어맞으며 관객들에게 전율을 안겼다. 허나 이는 단지 흙 색깔과 비슷한 10원 대신 100원을 던진 것이었다는 게 장재현 감독이 밝힌 전말이다. 물론 장재현 감독은 “소름이 돋았다” “감독의 완벽한 빅픽쳐”라는 관객의 찬사에 “의도였던 것 같다”고 재치 있게 화답한 바다.
However, there is one serendipitous shot that Director Jang Jae-hyun did not plan. In the film, when Kim Sang-deok tosses a coin for a divination, the camera captures the side with Admiral Yi Sun-sin’s image. This aligned perfectly with the film's anti-Japanese message and sent chills down the spine of many viewers. However, Jang clarified that he simply chose to use a 100-won coin because the 10-won coin was too similar to the color of the soil. Of course, in response to comments such as "goosebump giving" and being "the director's perfect shot," Director Jang gave a witty reply, "I probably intended it."




# ‘N’ seconds
or ‘N’ minutes

장재현이란 감독을 만들어 낸 ‘N’이란 NUMBER
The number “N” that shaped Director Jang Jae-hyun

# ‘N’ seconds
or ‘N’ minutes

장재현이란 감독을 만들어 낸 ‘N’이란 NUMBER
The number “N” that shaped Director
Jang Jae-hyun

세상에는 명확히 드러나는 숫자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숫자도 있다. 그럴 때 우리는 ‘N차 관람’ ‘N번째’ 등 숫자 대신 ‘N’을 붙인다. 장재현 감독이 인상 깊은 오컬트 작품들을 탄생시킬 수 있었던 순간 역시 N초, 혹은 N분으로 표현할 수 있을 것 같다.
Some of the discussed numbers are well known, while others are not. For unknown numbers, we use the letter “N”– “Nth viewing,” “Nth time,” etc. The moment when Director Jang Jae-hyun conceived his impressive occult film might also be described as “N seconds” or “N minutes.”

장재현 감독은 어린 시절의 경험에서 <파묘>라는 긴 이야기 타래의 첫 가닥을 잡았다. 장재현 감독은 어린 시절 친숙하게 놀던 곳에 자리하고 있던 묘가 이장되는 현장을 목격하게 됐고 그 과정을 지켜보며 ‘과거와 현재가 만나는 타임머신 같다’는 생각을 했다고 한다. 그 찰나의 단상에서 천만 영화 <파묘>가 탄생했다.
Jang found the initial thread for the intricate story of Exhuma from an experience in his childhood. Seeing a grave that used to be near the place where he used to play as a child being relocated, he thought, “This is like a time machine where the past meets the present.” It was from that fleeting moment of reflection that the blockbuster film Exhuma was born.

image
영화 <검은 사제들>, 출처 CJ ENM
Film <The Priests>, Courtesy of CJ ENM

<검은 사제들>은 <파묘>를 끌어 낸 기억보다 더 짧은 수초의 기억으로 만들어진 작품이다. 장재현 감독은 북적이던 명동 거리에서 목격한 어둠 속의 성직자에게서 <검은 사제들>의 강동원을 만들어 냈다. 장재현 감독은 “많은 인파가 오가는 환한 거리 속 한켠, 어두운 골목길에서 담배를 피우는 한 사람을 봤다”며 “그가 돌아섰는데 로만 칼라가 보였고 왠지 모르게 초조한 모습에서 ‘저 어두운 데서 세상을 구하는 사람 같다’는 느낌을 받았다”고 당시를 회상했다. 아주 짧았던 그 순간의 강렬한 이미지는 <검은 사제들>의 시작이 됐다.
The inspiration for The Priests came from a memory that lasted mere seconds, shorter than the one that sparked Exhuma. Jang crafted the character played by Kang Dong-won in The Priests from a priest he spotted in the darkness of the bustling streets of Myeong-dong. Jang reflects, “Amidst the bright streets filled with crowds going back and forth, I saw someone smoking in the dark alley. When he turned around, I saw that he was wearing a clerical collar. He looked anxious, and for some reason, it felt as if he was someone who could save the world from the darkness.” That brief yet intense image became the starting point for The Priests.

찰나의 시간 속에서 관객을 몰입시키는 이야기를 건져 내는 장재현 감독. 그는 이창동 감독의 수업을 들을 당시 “이야기는 만드는 것이 아니라 만나는 것”이라는 말을 들었고, 전적으로 이 말에 동의한다고 밝히기도 했다.
Jang Jae-hyun undoubtedly has a knack for extracting immersive stories from fleeting moments. He once attended a class taught by Director Lee Chang-dong from where Jang heard the phrase, "Stories are not made but encountered." Jang took these words to heart.

앉아 있기보다 움직이며 어떤 타이밍과 맞아떨어지는 그 순간, 그의 이야기는 시작된다. 장재현 감독이 우리 생의 흔한 하루 중 어떤 찰나의 N초, N분에서 남다른 이야기를 건져 올릴 지 자못 기대된다.
His stories unfold at the moment that aligns perfectly with timing, when he is in motion rather than still. Once can’t help but eagerly anticipate what new extraordinary tales Jang Jae-hyun will bring to light in those fleeting N seconds or N minutes that pass in our ordinary liv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