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9월
SPECIAL
NEW 다시, 극장의 본질로
멀티플렉스 25년, 지금 필요한 리뉴얼은?
2025-09-01
COMING UP 관객을 위한 극장이 되려면
국내외 티켓 할인 및 관객 유입 정책
2025-09-15
PEOPLE
READING
GLOBAL
NEW 가보지 못한 길에 서다
‘K-애니메이션 시대’에 대한 생각
2025-09-01
COMING UP ‘물의 도시’에서 한국영화를 보다
82회 베니스국제영화제 참관기
2025-09-15
KOFIC STORY
NEW 성평등한 콘텐츠가 만드는 즐거운 세상
미리 보는 벡델데이 2025
2025-09-01
COMING UP 네오 소라 머릿속 파헤치기
KAFA + 넷플릭스 네오 소라 마스터 클래스
2025-09-15
BOX OFFICE
주간 박스오피스
8월 3주차 위클리 박스오피스
글 _ 김선아(한경매거진앤북 기자)
2025-08-19
2025년 8월 셋째 주 극장가는 전통 강자의 흥행세와 신작들의 도전이 맞물리며 치열한 순위 다툼을 벌였다. 여름방학 막바지 관객 수요가 이어지며 주요 작품들이 고르게 관객을 끌어모았다.
1위는 <좀비딸>이 차지했다. 인기 웹툰을 원작으로, 좀비로 변한 딸과 딸을 지키려는 아버지의 이야기를 유쾌하면서도 뭉클하게 그려낸 가족형 코미디다. 이번 주에도 117만 명을 더하며 113억 원의 매출을 올렸고, 누적 관객 수는 452만 명을 돌파했다.
2위는 <F1 더 무비>가 올랐다. 브래드 피트가 주연을 맡아 실제 F1 레이스 현장을 생생하게 담아낸 스포츠 드라마로, 레이스의 스피드와 긴장감을 드라마적 서사와 결합했다. 이번 주 56만 명이 관람해 63억 원을 기록하며 흥행세를 이어갔다. 누적 관객 수는 421만 명이다.
3위는 코미디와 오컬트를 결합한 한국영화 <악마가 이사왔다>다. 아랫집에 이사 온 매력적인 이웃 ‘선지(임윤아)’가 밤이 되면 악마로 변한다는 충격적인 설정을 바탕으로, 평범한 청년 ‘길구(안보현)’가 선지 가족의 비밀에 휘말리며 겪는 이야기를 유쾌하면서도 오싹하게 담았다. 개봉 첫 주 27만 명을 모으며 26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4위는 <긴키 지방의 어느 장소에 대하여>다. 일본 미스터리·공포 영화로 오컬트 잡지 편집자가 긴키 지방의 연쇄 괴현상(집단 히스테리, 의문사, 사이비, 심령 스폿 실종 등)을 추적하는 이야기다. 개봉 첫 주 10만 명을 모아 10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5위에는 <존 윅> 시리즈의 스핀오프인 <발레리나>가 올랐다. 암살자 조직에서 성장한 여성 킬러의 복수를 그린 액션 블록버스터로, 강렬한 액션과 감각적인 영상미로 눈길을 끌었다. 이번 주 10만 명의 관객이 관람하며 10억 원의 매출을 거뒀다.
8월 3주차 흥행 TOP10
좀비딸
개봉일 2025-07-30
매출액 113억 원
관객수 117만 명
F1 더 무비
개봉일 22025-06-25
매출액 63억 원
관객수 56만 명
악마가 이사왔다
개봉일 2025-08-13
매출액 26억 원
관객수 27만 명
긴키 지방의 어느 장소에 대하여
개봉일 2025-08-13
매출액 10억 원
관객수 10만 명
발레리나
개봉일 2025-08-06
매출액 10억 원
관객수 10만 명
킹 오브 킹스
개봉일 2025-07-16
매출액 8억 원
관객수 9만 명
스머프
개봉일 2025-08-06
매출액 6억 원
관객수 6만 명
배드 가이즈 2
개봉일 2025-07-30
매출액 6억 원
관객수 6만 명
식스데이즈
개봉일 2025-08-13
매출액 7억 원
관객수 3만 명
강령: 귀신놀이
개봉일 2025-08-06
매출액 2억 원
관객수 3만 명
여름 극장가가 대작들로 뜨거운 가운데, 독립·예술영화는 특유의 개성과 서사로 관객들의 시선을 사로잡았다.
1위는 한국 공포영화 <강령: 귀신놀이>다. 어린 시절 친구들과 벌인 ‘귀신놀이’가 성인이 된 뒤 끔찍한 사건으로 되살아나는 이야기를 그린 오컬트 스릴러로, 긴장감 넘치는 연출과 강렬한 비주얼이 호평을 얻었다. 개봉 2주차에도 2만 5천 명의 관객을 모으며 흥행을 이어갔다.
2위는 가족 애니메이션 <베베핀 극장판: 사라진 베베핀과 핑크퐁 대모험>이다. 유아 인기 캐릭터 ‘베베핀’과 핑크퐁의 모험담을 그린 첫 극장판으로, 교육적 메시지와 함께 유쾌한 모험을 담아내며 가족 관객층을 꾸준히 끌어모았다. 이번 주 관객 수 1만 8천 명, 누적 관객 수 21만 명을 기록했다.
3위는 음악 다큐멘터리 <스탑 메이킹 센스>다. 전설적 밴드 토킹 헤즈(Talking Heads)의 1983년 공연 실황을 담은 1984년 작품으로, 개봉 40년 만에 복원판으로 다시 선보였다. 생생한 무대와 시대를 앞선 퍼포먼스가 음악 팬들에게 큰 호응을 얻으며 1만 2천 명의 관객을 동원했다.
4위는 대만영화 <나의 아픈, 사랑이야기>다. 꾀병이 사랑으로 변하는 과정을 유쾌하면서도 애틋하게 담아낸 멜로 드라마로, 대만 청춘영화 특유의 감수성과 발랄한 에너지가 더해진다.
5위는 일본영화 <여름정원>이다. “사람이 죽으면 어떻게 될까?”라는 질문으로 시작해, 여름 방학 동안 죽음을 궁금해하는 세 소년이 외딴집에 홀로 사는 괴짜 노인을 관찰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그린 작품이다. 소마이 신지 감독의 연출로, 섬세한 성장 서사가 빛을 발한다.
8월 3주차 독립·예술영화 흥행 TOP10
강령: 귀신놀이
개봉일 2025-08-06
매출액 237백만 원
관객수 25천 명
베베핀 극장판: 사라진 베베핀과 핑크퐁 대모험
개봉일 2025-07-24
매출액 165백만 원
관객수 18천 명
스탑 메이킹 센스
개봉일 2025-08-13
매출액 137백만 원
관객수 12천 명
나의 아픈, 사랑이야기
개봉일 2025-08-13
매출액 76백만 원
관객수 9천 명
여름정원
개봉일 2025-08-06
매출액 48백만 원
관객수 5천 명
이사
개봉일 2025-07-23
매출액 44백만 원
관객수 4천 명
첫여름
개봉일 2025-08-06
매출액 13백만 원
관객수 4천 명
추적
개봉일 2025-08-06
매출액 34백만 원
관객수 4천 명
미세리코르디아
개봉일 2025-07-16
매출액 21백만 원
관객수 2천 명
수연의 선율
개봉일 2025-08-06
매출액 12백만 원
관객수 1천 명
2025년 8월 3주차 극장가는 본격적인 여름 성수기 흐름을 이어가며 여전히 안정적인 관객 수를 기록했다. 전체 관객 수는 276만 명, 매출액은 279억 원으로 전주(300만 명, 294억 원) 대비 다소 감소했지만, 큰 틀에서 견조한 수준을 유지했다.
특히 한국영화가 꾸준히 관객 몰이에 성공하며 시장 주도권을 이어갔다. 개봉 편수는 11편으로 전주보다 2편 늘었고, 관객 수 169만 명, 매출액 165억 원을 기록하며 점유율 61.1%를 차지했다. 이는 전주(62.2%)에 이어 여전히 높은 비중으로, 여름 대작과 다양한 장르 영화들이 함께 흥행을 견인한 결과다.
반면 외국영화는 개봉 편수가 8편으로 줄어든 가운데, 관객 수 107만 명, 매출액 114억 원을 기록하며 점유율 38.9%에 머물렀다. 전주 대비 관객 수와 매출액 모두 하락세를 보여, 당분간 한국영화 중심의 구도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이번 주 극장가는 여름 성수기 시장 특성상 관객의 블록버스터 집중이 두드러졌지만, 동시에 독립·예술영화와 특별관 콘텐츠가 일정한 관객층을 확보하며 상영 다양성을 지켰다. 한국영화의 강세가 지속되면서 전체 극장가 활력을 끌어올리고 있는 모습이다.
최근 4주간 극장 매출 및 한국영화 점유율
기간 | 전체 | 한국 | 외국 | ||||||||
---|---|---|---|---|---|---|---|---|---|---|---|
개봉편수 | 매출액(억 원) | 관객수(만 명) | 개봉편수 | 매출액 | 관객수 | 점유율 | 개봉편수 | 매출액 | 관객수 | 점유율 | |
8월 3주차 | 19 | 279 | 276 | 11 | 165 | 169 | 61.1% | 8 | 114 | 107 | 38.9% |
8월 2주차 | 18 | 294 | 300 | 9 | 177 | 187 | 62.2% | 9 | 117 | 113 | 37.8% |
8월 1주차 | 52 | 390 | 412 | 9 | 248 | 269 | 65.5% | 43 | 141 | 142 | 34.5% |
7월 4주차 | 22 | 270 | 267 | 9 | 125 | 128 | 47.8% | 13 | 145 | 139 | 5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