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9월
SPECIAL
NEW 다시, 극장의 본질로
멀티플렉스 25년, 지금 필요한 리뉴얼은?
2025-09-01
COMING UP 관객을 위한 극장이 되려면
국내외 티켓 할인 및 관객 유입 정책
2025-09-15
PEOPLE
READING
GLOBAL
NEW 가보지 못한 길에 서다
‘K-애니메이션 시대’에 대한 생각
2025-09-01
COMING UP ‘물의 도시’에서 한국영화를 보다
83회 베니스국제영화제 참관기
2025-09-15
KOFIC STORY
NEW 성평등한 콘텐츠가 만드는 즐거운 세상
미리 보는 벡델데이 2025
2025-09-01
COMING UP 네오 소라 머릿속 파헤치기
KAFA + 넷플릭스 네오 소라 마스터 클래스
2025-09-15
BOX OFFICE
주간 박스오피스
9월 1주차 위클리 박스오피스
글 _ 김선아(한경매거진앤북 기자)
2025-09-09
2025년 9월 첫째 주 극장가는 다양한 장르 신작의 개봉으로 장르 균형을 이루었으며, 다음달 추석 대목을 앞두고 예열 단계에 접어든 분위기다. 1위는 개봉 2주차에 접어든 <극장판 귀멸의 칼날: 무한성편>이 차지했다. 전주에 이어 박스오피스 정상을 유지하며 이번 주에도 80만 명을 동원, 87억 원의 매출을 올렸다. ‘최종국면’ 시리즈의 포문을 연 이번 극장판은 기존 팬층의 열띤 지지와 함께 일본 애니메이션 흥행 강세를 이어가고 있다. 누적 관객 수는 396만 명이다.
2위는 신작 <컨저링: 마지막 의식>이다. 오컬트 공포물의 대표 IP로 자리 잡은 ‘컨저링 유니버스’의 최신작으로, 실화를 바탕으로 한 초자연적 현상과 엑소시즘 소재로 화제를 모았다. 개봉 첫 주 23만 명의 관객을 동원하며 24억 원의 매출을 기록, 장르 팬층을 중심으로 흥행 초반 기세를 끌어올리는 데 성공했다.
3위는 <F1 더 무비>다. 브래드 피트 주연의 이 스포츠 드라마는 실제 F1 경기장 촬영과 더불어 다이내믹한 레이스 연출이 돋보이는 작품이다. 이번 주에도 15만 명의 관객을 추가로 동원했으며, 매출은 15억 원을 기록했다. 여전히 꾸준한 입소문과 스포츠 장르에 대한 관심 속에 관람 열기가 이어지고 있다. 누적 관객 수는 491만 명이다.
4위는 <살인자 리포트>다. 한 호텔 스위트룸에서 벌어지는 팽팽한 인터뷰를 중심으로 전개되는 이 스릴러 드라마는, 자신이 연쇄살인범이라 주장하는 정신과 의사(정성일)와 그를 단독 인터뷰하게 된 위기의 기자(조여정)의 치밀한 심리전을 그린다. 인터뷰를 멈추면 누군가 반드시 죽는다는 설정은 관객의 긴장감을 극대화하며, 개봉 첫 주 15만 명의 관객을 동원해 15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5위는 <좀비딸>이다. 인기 웹툰 원작으로, 좀비가 된 딸과 아버지의 유쾌한 생존기를 그린 이 작품은 이번 주 15만 명을 모으며 다시 5위권에 진입했다. 매출은 14억 원으로, 가족 단위 관객층의 안정적인 수요를 반영했다. 누적 관객 수는 550만 명에 달한다.
9월 1주차 흥행 TOP10
극장판 귀멸의 칼날: 무한성편
개봉일 2025-08-22
매출액 87억 원
관객수 80만 명
컨저링: 마지막 의식
개봉일 2025-09-03
매출액 24억 원
관객수 23만 명
F1 더 무비
개봉일 2025-06-25
매출액 15억 원
관객수 15만 명
살인자 리포트
개봉일 2025-09-05
매출액 15억 원
관객수 15만 명
좀비딸
개봉일 2025-07-30
매출액 14억 원
관객수 15만 명
첫사랑 엔딩
개봉일 2025-08-27
매출액 4억 원
관객수 5만 명
투게더
개봉일 2025-09-03
매출액 2억 원
관객수 3만 명
긴키 지방의 어느 장소에 대하여
개봉일 2025-08-13
매출액 2억 원
관객수 2만 명
악마가 이사왔다
개봉일 2025-08-13
매출액 1억 원
관객수 1만 명
아기돼지 3형제: 도넛별 대모험
개봉일 2025-09-04
매출액 1억 원
관객수 1만 명
2025년 9월 첫째 주 독립·예술영화 시장은 개봉 신작들이 고르게 분포되며 장르별 다양성을 드러냈다. 신작 3편이 상위권을 차지한 가운데, 전주 화제작들도 꾸준한 관객 유입을 유지했다.
1위는 미국산 바디 호러 로맨스 <투게더>다. 관계의 끝에 선 커플 ‘팀’과 ‘밀리’가 점점 서로의 몸이 붙어가는 기이한 변화를 겪는 과정을 그린 이 작품은, 인간관계의 밀착성과 불안정함을 신체적 공포로 형상화했다. 장르적 파격과 신선한 설정으로 2만 6천 명의 관객을 끌어 모았다. 누적 관객 수는 2만 9천 명이다.
2위는 한국영화 <3670>이다. 자유를 찾아 탈북한 ‘철준’과, 그가 서울에서 우연히 마주한 동갑내기 ‘영준’의 관계를 그린 작품으로, 어디에도 속하지 못한 존재들이 서로를 통해 자신만의 세계를 발견해가는 과정을 섬세하게 담아냈다.
3위는 일본영화 <그랑 메종 파리>다. 미슐랭 3스타 셰프 오바나가 파리에서 다시 한번 정점에 도전하는 과정을 따라가는 작품으로, 파인다이닝의 긴장감과 아름다움을 정제된 화면으로 담아냈다.
4위는 한국영화 <3학년 2학기>다. 학창 시절의 마지막 한 학기를 학교가 아닌 낯선 공장에서 보내며, 사수의 눈치와 사회의 파도 속에서도 일의 즐거움과 동료애를 배우는 열아홉 살 ‘창우’의 성장기를 담은 작품이다. 현실적 공감과 따뜻한 감성으로 청춘의 첫걸음을 진솔하게 그려낸 드라마다.
5위는 <스탑 메이킹 센스>다. 토킹 헤즈의 전설적인 1983년 공연 실황을 복원한 이 음악 다큐멘터리는 세대를 넘어 음악 팬들의 열광적인 호응을 얻으며 장기 흥행을 이어가고 있다.
9월 1주차 독립·예술영화 흥행 TOP10
투게더
개봉일 2025-09-03
매출액 219백만 원
관객수 26천 명
3670
개봉일 2025-09-03
매출액 66백만 원
관객수 7천 명
그랑 메종 파리
개봉일 2025-08-27
매출액 28백만 원
관객수 4천 명
3학년 2학기
개봉일 2025-09-03
매출액 32백만 원
관객수 4천 명
스탑 메이킹 센스
개봉일 2025-08-13
매출액 38백만 원
관객수 3천 명
어글리 시스터
개봉일 2025-08-20
매출액 24백만 원
관객수 2천 명
온리 갓 노우즈 에브리띵
개봉일 2025-08-22
매출액 16백만 원
관객수 2천 명
마지막 숙제
개봉일 2025-09-03
매출액 19백만 원
관객수 2천 명
내 말 좀 들어줘
개봉일 2025-08-20
매출액 12백만 원
관객수 1천 명
베베핀 극장판: 사라진 베베핀과 핑크퐁 대모험
개봉일 2025-07-24
매출액 10백만 원
관객수 1천 명
2025년 9월 1주차 극장가는 여름 성수기 이후 본격적인 가을 시즌으로 접어들기 전, 과도기의 흐름을 보였다. 전체 관객 수는 173만 명, 매출액은 179억 원으로 전주(258만 명, 260억 원) 대비 감소했지만 안정세를 나타냈다. 개봉 편수도 28편으로 줄었지만, 기존 상영작과 신작 간의 경쟁 구도 속에 관객 흐름은 고르게 분포되었다.
특히 이번 주에는 외국영화가 점유율 79%를 기록하며 여전히 시장을 견인하는 흐름을 이어갔다. 관객 수 137만 명, 매출 143억 원으로, 다큐멘터리, 애니메이션, 가족극, 공포 등 다양한 장르의 외화가 상영되며 선택지를 확장했다.
반면 한국영화는 관객 수 36만 명, 매출 36억 원으로 점유율 21%에 머물렀다. 이는 전주(19.8%)보다는 소폭 상승한 수치지만, 절대적인 관객 규모는 감소했다. 개봉작 수는 전주보다 1편 줄어든 8편이다.
한편 독립·예술영화와 다큐멘터리 부문에서는 감정의 결을 섬세하게 그려낸 한국영화들이 소규모 관객과 꾸준히 만났다. 다만 전체 박스오피스의 흐름을 반전시키기에는 파급력이 다소 미흡한 상황이다.
9월 1주차 극장가는 여름 특수 이후 하락세가 본격화되는 시기임에도 불구하고 일정 수준의 관객 수를 유지하며 안정적인 흐름을 보였다. 앞으로 추석 연휴를 겨냥한 대작 및 기대작들의 순차적 투입을 통해 극장가가 반등의 기회를 모색할지 귀추가 주목된다.
최근 4주간 극장 매출 및 한국영화 점유율
기간 | 전체 | 한국 | 외국 | ||||||||
---|---|---|---|---|---|---|---|---|---|---|---|
개봉편수 | 매출액(억 원) | 관객수(만 명) | 개봉편수 | 매출액 | 관객수 | 점유율 | 개봉편수 | 매출액 | 관객수 | 점유율 | |
9월 1주차 | 28 | 179 | 173 | 8 | 36 | 36 | 21.0% | 20 | 143 | 137 | 79.0% |
8월 5주차 | 58 | 260 | 258 | 9 | 45 | 51 | 19.8% | 49 | 214 | 207 | 80.2% |
8월 4주차 | 16 | 304 | 291 | 5 | 70 | 72 | 24.7% | 11 | 234 | 219 | 75.3% |
8월 3주차 | 19 | 279 | 276 | 11 | 165 | 169 | 61.1% | 8 | 114 | 107 | 38.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