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7월
주간 박스오피스
6월 5주차 위클리 박스오피스
글 _ 김선아(한국경제매거진 기자)
2025-07-01
2025년 6월 마지막 주, 박스오피스 1위는 단숨에 48만 명의 관객을 모은
2위는 3주 연속 최상위권을 지킨 <드래곤 길들이기>다. 드래곤과 소년의 우정을 그린 실사 판타지 어드벤처로, 이번 주 25만 명을 추가하며 누적 관객 수 153만 명을 넘어섰다.
3위는 <노이즈>다. 새 집 마련에 성공한 자매가 정체불명의 층간소음에 시달리면서 벌어지는 섬뜩한 사건을 그린 심리 스릴러다. 현실적인 공포를 날카롭게 그려낸 이 작품은 20만 명의 관객을 모으며 19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4위는 픽사의 신작 애니메이션 <엘리오>다. 은하계 대표가 된 소년 ‘엘리오’의 모험을 유쾌하게 그린 SF 어드벤처로, 가족 단위 관객의 꾸준한 발길을 이끌며 18만 명의 관객을 동원했다. 누적 관객 수는 44만 명이다.
5위는 <하이파이브>다. 우연히 초능력을 갖게 된 여섯 남녀가 악당과 맞서며 펼치는 유쾌한 슈퍼 히어로 액션 코미디로, 개성 넘치는 캐릭터와 강형철 감독의 속도감 있는 연출이 돋보인다. 이번 주 10억 원의 매출과 11만 명의 관객을 모았으며, 누적 관객 수는 184만 명이다.
이번 주 극장가는 신작 외화의 공세 속에서도 기존 작품들이 꾸준한 관람 열기를 이어가며, 여름 블록버스터 시즌의 서막을 알리는 분위기다.
6월 5주차 흥행 TOP10
F1 더 무비
개봉일 2025-06-25
매출액 52억 원
관객수 48만 명
드래곤 길들이기
개봉일 2025-06-068
매출액 23억 원
관객수 25만 명
노이즈
개봉일 2025-06-25
매출액 19억 원
관객수 20만 명
엘리오
개봉일 2025-06-18
매출액 16억 원
관객수 18만 명
하이파이브
개봉일 2025-05-30
매출액 10억 원
관객수 11만 명
28년 후
개봉일 2025-06-19
매출액 8억 원
관객수 9만 명
미션 임파서블: 파이널 레코닝
개봉일 2025-05-17
매출액 5억 원
관객수 5만 명
신명
개봉일 2025-06-02
매출액 1억 원
관객수 1만 명
무명 無名
개봉일 2025-06-25
매출액 3억 원
관객수 3만 명
퀴어
개봉일 2025-06-20
매출액 1억 원
관객수 1만 명
2025년 6월 다섯째 주, 독립·예술영화 1위는 <무명 無名>이다. 일제강점기, 고통받던 조선에 복음을 전하기 위해 찾아온 일본인 선교사들의 실화를 그린 감동 드라마로, 이름 없이 예수의 사랑만을 남긴 ‘무명’ 선교사들의 희생과 신념을 담아낸다. 이번 주 2억5천만 원의 매출과 2만7천 명의 관객을 기록했다. 누적 관객 수는 3만3천 명이다.
2위는 <퀴어>다. 1950년대 멕시코시티를 배경으로, 방탕한 삶을 살던 미국 작가 ‘리’가 아름다운 청년 ‘유진’을 만나 겪게 되는 강렬한 사랑과 집착의 이야기를 그린 이탈리아 드라마다. 윌리엄 버로스의 동명 소설이 원작으로, 퇴폐적이면서도 관능적인 분위기와 미스터리한 관계성이 인상 깊다는 반응을 얻으며 1만1천 명의 관객을 동원했다. 누적 관객 수는 2만2천 명이다.
3위는 <바다호랑이>다. 세월호 참사 당시 희생자 수습에 나섰던 민간 잠수사들의 실화를 바탕으로, 트라우마와 국가의 외면 속에서도 존엄성과 진실을 지켜내려는 이들의 고통과 용기를 담은 드라마다.
4위는 애니메이션 <후레루.>다. 신비한 생물 ‘후레루’를 통해 서로의 감정을 읽을 수 있게 된 세 소꿉친구가 스무 살이 된 뒤 엇갈리는 감정과 진실을 마주하게 되는 청춘 판타지 애니메이션이다.
5위는 <해피엔드>다. 근미래 감시 사회에 저항하는 청춘들의 우정과 분열을 그린 일본 청춘 드라마로, 누적 관객 수는 12만 명이다.
이번 주 독립·예술영화 시장은 장르의 다양성을 기반으로 개성 있는 작품들이 관객과 만났다. 본격적인 여름 시즌에 앞서 진지한 주제의식과 감성적 서사를 담은 영화들이 관객의 선택을 받으며, 정서적 몰입을 중시하는 관람 경향을 보여줬다.
6월 5주차 독립·예술영화 흥행 TOP10
무명 無名
개봉일 2025-06-25
매출액 254백만 원
관객수 26천 명
퀴어
개봉일 2025-06-20
매출액 89백만 원
관객수 11천 명
바다호랑이
개봉일 2025-06-25
매출액 76백만 원
관객수 9천 명
후레루.
개봉일 2025-06-25
매출액 57백만 원
관객수 8천 명
해피엔드
개봉일 2025-04-30
매출액 61백만 원
관객수 5천 명
세하별
개봉일 2025-06-25
매출액 34백만 원
관객수 4천 명
네이키드 런치
개봉일 2025-06-25
매출액 18백만 원
관객수 2천 명
기빗올: 우리들의 썸머
개봉일 2025-06-18
매출액 11백만 원
관객수 2천 명
모네의 수련. 물과 빛의 마법
개봉일 2025-06-25
매출액 7백만 원
관객수 1천 명
천국은 없다
개봉일2025-06-25
매출액 6백만 원
관객수 6백 명
2025년 6월 마지막 주, 국내 극장가는 여전히 조용한 흐름을 이어갔다. 전체 관객 수는 161만 명, 매출은 157억 원으로 전주 대비 각각 17만 명, 18억 원 증가했으나 시장의 온도는 여전히 낮은 편이다. 개봉 편수는 35편으로 늘었지만, 대중의 관심을 이끌만한 대형 신작은 부재했다.
이번 주 한국영화는 11편이 개봉해 42만 명의 관객을 동원, 26.0%의 점유율을 기록했다. 전주(27.3%) 대비 소폭 하락하며 최근 4주 중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하이파이브> 등 기존 흥행작이 장기 상영 중이나, 뚜렷한 신작은 부재한 탓에 반등에는 실패했다.
반면 외국영화는 24편이 개봉해 119만 명의 관객을 모으며 117억 원의 매출을 올렸다. 점유율은 74.0%로, 3주 연속 상승세를 기록하며 압도적인 시장 주도권을 유지하고 있다.
본격적인 여름 성수기를 앞둔 7월 초, 극장가는 여전히 관객의 발길을 이끌만한 확실한 흥행 카드가 절실하다. 오는 7월부터 한국영화 대작들이 연이어 개봉을 예고한 가운데, 하반기 한국영화의 반격이 가능할지 주목된다.
최근 4주간 극장 매출 및 한국영화 점유율
기간 | 전체 | 한국 | 외국 | ||||||||
---|---|---|---|---|---|---|---|---|---|---|---|
개봉편수 | 매출액(억 원) | 관객수(만 명) | 개봉편수 | 매출액 | 관객수 | 점유율 | 개봉편수 | 매출액 | 관객수 | 점유율 | |
6월 5주차 | 35 | 157 | 161 | 11 | 39 | 42 | 26.0% | 24 | 117 | 119 | 74.0% |
6월 4주차 | 18 | 139 | 144 | 11 | 38 | 39 | 27.3% | 7 | 100 | 105 | 72.7% |
6월 3주차 | 9 | 134 | 140 | 5 | 57 | 61 | 43.6% | 4 | 77 | 79 | 56.4% |
6월 2주차 | 18 | 254 | 268 | 2 | 120 | 128 | 47.8% | 16 | 134 | 140 | 5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