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영화

cover img

K-Movie Today

토론토의 한국영화, 삶과 예술에 대한
인식을 확장하다
TIFF 2024: Korean Films Help Expand
Impressions
of Korean Life and Art

글 브렌트 사이먼(Brent Simon)
Brent Simon(Film Critic) 사진 (주)하이브미디어코프

Hundreds of millions of people in the United States and across the world live in modestly-sized cities with maybe only one or two arthouse theaters. Thus, while the global reach and domestic convenience of streaming platforms has been integral in helping to broaden both the range and depth of Korean cultural export, festival-minted big screen offerings therefore enjoy an outsized role in helping to shape outside percep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미국을 비롯한 전 세계 수억 명의 사람들은 한두 개의 예술영화관이 있는 소도시에서 살고 있을 것이다. 스트리밍 플랫폼이 전 세계로 확대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되면서 한국 문화가 깊이 있고 폭넓게 전 세계로 확산하는 데 일조하고 있다. 이런 맥락에서 영화제의 대형 스크린에서 선보이는 작품들이 한국이라는 나라에 대한 외부의 인식을 형성하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At the 49th edition of the Toronto International Film Festival, held September 5-15, a solid assortment of Korean movies and Korean-themed projects either made their world premieres or first North American stops after debuting at other high-profile international festivals. For many critics, especially those in underserved regions, TIFF represented a chance to see the most Korean films on the big screen that they might get to view in one single week.

9월 5일부터 15일까지 열린 제49회 토론토국제영화제(TIFF)에서는 다양한 한국영화와 한국을 주제로 한 여러 프로젝트가 처음 공개되었고, 유수의 국제 영화제에서 소개된 영화가 북미 무대에 첫선을 보이기도 했다. 특히 한국영화를 접할 기회가 많지 않은 비평가들은 이번 TIFF 를 통해 한 주간 가장 많은 한국영화를 대형 스크린에서 볼 수 있었다.

Harbin Applauded by North American Audiences

Gala presentation Harbin, a sweeping historical action-thriller from Inside Men and The Man Standing Next director Woo Min-ho, is set in 1909, four years after the Eulsa Treaty, and follows a group of independence fighters, including activist Ahn Jung-geun (Hyun Bin), who struggle against the colonial rule of their Japanese occupiers. As they are pursued by Japanese Captain Mori Tatsuo (Park Hoon) and plot to assassinate Ito Hirobumi, the former prime minister of Japan and first Resident-General of Korea, it comes to Ahn’s attention that there is also likely a mole in their midst.

북미 관객이 환호한 <하얼빈>

갈라 프레젠테이션 부문 초청작 <하얼빈>은 <내부자들>과 <남산의 부장들>을 연출한 우민호 감독의 신작 액션 스릴러로, 을사늑약 체결 후 4년이 지난 1909년을 영화의 배경으로 하고 있다. 일제의 식민 지배에 맞서 투쟁하는 안중근(현빈)을 비롯해 여러 독립운동가들의 삶을 다루고 있다. 영화 속 인물들은 일본군 대위인 모리 타츠오(박훈)에게 쫓기며, 전 일본 내각의 총리대신이자 조선 통감부의 초대 통감이었던 이토 히로부미를 암살하려는 계획을 세우지만, 안중근은 그들 내부에 밀정이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갈라 프레젠테이션 부문 초청작 <하얼빈> | 사진 출처 TIFF

The world premiere of Harbin, on September 8, was attended by stars Hyun and Lee Dong-wook, as well as many other cast and crew members, though female lead Jeon Yeo-been was unable to attend. “It was really gratifying to bring both of them to Toronto for the first time, to TIFF for the first time, and I also found out it was their first time visiting Canada,” said TIFF’s Chief Programming Officer Anita Lee. “I think they were both surprised to actually see what a strong fan base they both had here. I mean, I’m told by my staff it was literally the loudest red carpet.”

9월 8일에 열린 <하얼빈> 월드 프리미어에는 현빈과 이동욱 외에 여러 출연진과 제작진이 참석했지만, 여주인공인 전여빈은 참석하지 못했다. TIFF 수석 프로그래머인 아니타 리(Anita Lee)는 "두 배우를 초청해 TIFF에 처음으로 소개할 수 있게 되어 정말 기쁘다. 캐나다 방문이 처음이라고 들었다. 캐나다에 이들의 팬이 얼마나 많은지 알고서 두 배우가 모두 놀란 듯하다. 스태프 말에 따르면 레드카펫 행사에서 말 그대로 열광적인 반응을 얻었다고 한다”고 말했다.


Firsthand evidence certainly backs up this impression. Korean pop culture fans are well known for. their vocal expressions of adoration, and the crowds outside Roy Thomson Hall were affectionately noisy as celebrities arrived.

이런 열띤 반응은 현장에서 직접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 대중문화 팬들은 열렬한 환호로 유명한데, 영화제 메인 극장인 로이톰슨홀 밖의 관객들은 배우들이 도착하자 행사장 주변을 애정 어린 환호로 가득 채웠다.

<하얼빈> TIFF 레드카펫 현장 | 사진 출처 하이브미디어코프

The overall critical reaction to Harbin speaks to the sometimes difficult-to-translate nature of historical dramas, as well as a bit of the difference in receptiveness between critics and entertainment industry viewers and other audiences which are comprised more of people from the Korean diaspora and/or who are more specific fans of Korean cinema.

<하얼빈>에 대한 전반적인 비평은 역사 드라마를 재현하는 데 따르기 마련인 어려움뿐 아니라, 한국계 이민자와 한국영화 팬들로 구성된 관객과 평론가, 엔터테인먼트 업계 종사자들이 영화를 받아들이는 데 있어서 얼마 간의 차이가 있음을 보여준다.

“I saw Harbin at the second public screening, and people enjoyed it as an action/war movie — it went over well in the moment,” said one senior American film critic. “It was a full audience, the crowd was engaged and there were some gasps during key reveals. Not knowing the real events going in actually helps, in my opinion, because it makes the thriller aspect of the movie work even better. But I don't feel Harbin garnered the same post-fest buzz as some other Korean films I've seen at the fest, most notably Parasite. However, the premiere was crazy — the crowd outside was huge, and Hyun Bin was obviously a massive draw.” Other critics were less enamored with the movie itself, but still recognized the passion that its presentation inspired.

미국의 한 유명한 영화평론가는 "두 번째 일반 상영에서 이 영화를 봤다. 관객들은 액션•전쟁영화로 이 영화를 즐겼다. 상영 당시 관객들의 반응이 좋았다. 객석은 꽉 찼고, 관객들은 영화에 몰입해 중요한 장면에서는 몇 차례 놀라는 반응이 이어졌다. 실제 역사적 사건을 미리 알지 못한 게 오히려 더 좋은 효과를 낸 듯하다. 덕분에 영화의 스릴러적 요소가 더 잘 작용한 것 같다“고 말했다. 반면 "하지만 내가 영화제에서 본 다른 한국영화, 특히 <기생충> 같은 열띤 반응을 얻지 못한 듯하다. 그래도 시사회는 대단했다. 바깥에는 엄청난 관중이 몰려들었고, 현빈이 큰 관심을 불러일으킨 건 사실"이라고 전했다. 다른 평론가들도 영화 자체에는 다소 큰 매력을 느끼지 못했지만, 영화가 보여준 열정만은 인정하는 분위기였다.

Historical dramas of any country, whether rooted in real-life sociopolitical intrigue (as Harbin is) or focusing more on everyday life with less well-known public figures, are often amongst the titles that have the most difficulty connecting with overseas audiences. Hardcore cinema lovers can often appreciate the craftsmanship with which they are made, but their wider mainstream appeal is almost by definition somewhat limited. Harbin fits this mold, but remains very much a welcome viewing experience precisely because it doesn’t firmly and neatly fit into the “auteur” mold that most defines international cinema.

어떤 나라의 역사를 다루든, (<하얼빈>에서와 같이) 실제 사회정치적 갈등에 뿌리를 두고 있든, 혹은 크게 알려지지 않은 인물들의 일상에 더 초점을 맞추든 간에, 역사영화는 종종 해외 관객과 소통하기에 가장 어려운 장르로 손꼽힌다. 하드코어 영화 팬들은 이러한 작품의 완성도를 높이 평가하곤 하지만, 폭넓은 주류 관객에게 어필하기에는 으레 어려운 면이 있다. <하얼빈>도 이러한 범주에 속하지만, 대체로 국제적인 영화를 정의하는 ‘작가주의’라는 틀에는 딱 맞아 떨어지지는 않기 때문에 오히려 환영할 만한 관람 경험을 선사한다.

If the movie’s black-and-white flashbacks sometimes come across as clunky vehicles for exposition, the acting is consistently engaging and Hong Kyeong-pyo’s superlative cinematography creates a compelling visual vocabulary that carries an audience through both the nicely composed action and the inner landscapes of strident ego and paranoia that define its characters.

영화에 등장하는 흑백 회상 장면이 이야기 전개의 어색한 수단처럼 느껴질 수 있지만, 배우들의 연기는 일관되게 몰입감을 선사한다. 홍경표 촬영감독의 뛰어난 촬영 기법은 잘 짜인 액션 장면, 강렬한 자아와 불안이라는 등장인물의 내적 풍경을 시각적으로 훌륭하게 표현해 관객을 사로잡는다.

Love in the Big City: A Unique Take on Romance

Romantic comedy Love in the Big City, which enjoyed its world premiere on September 13, could barely be more different from Harbin. Directed by E.oni and based on the bestselling novel of the same name by Park Sang-young, the film is a bouncy, vibrant, contemporary work, starring Kim Go-eun and Steve Sanghyun Noh. A story of young adults navigating growing pains as they come of age and search for love in Seoul, the movie tells the story of Jae-hee (Kim), a diehard romantic who has embraced individuality in a way that’s sparked gossip, and Heung-soo (Noh), a closeted gay man.

<대도시의 사랑법>, 비전형성이 돋보이는

9월 13일에 처음 상연된 로맨틱 코미디 <대도시의 사랑법>은 <하얼빈>과는 전혀 다른 영화다. 이언희 감독이 연출하고 박상영 작가의 동명 베스트셀러 소설을 원작으로 한 이 영화는 배우 김고은과 노상현이 주연을 맡은 경쾌하고 활기찬 현대극으로, 대도시 서울에서 성장의 아픔을 겪으며 사랑을 찾아 헤매는 청춘들의 이야기를 그린다. 김고은이 연기한 재희는 개인주의를 추구하며 소문을 몰고 다니는 낭만주의자며, 노상현이 연기한 흥수는 성 정체성을 숨긴 채 살아가는 동성애자다.

<대도시의 사랑법> | 사진 출처 플러스엠

The movie, spanning more than a decade, isn’t attempting to wow viewers with production value; rather, it’s trying to present a snapshot portrait of modern-day life, and unpack some of the difficulties of young adulthood, when one is still figuring themselves out, and how to fit into a society where expectations may not always align with one’s own values. It’s unusual, but valuable (especially in international cinema), to see a story which invests heavily in platonic opposite-sex relationships, and to this writer that combination of atypicality and highly personable and relatable performances (especially from Kim) win out over its more familiar narrative passages.

10년이 넘는 시간을 아우르는 이 영화는 높은 제작비로 관객을 놀라게 하는 영화가 아니다. 그 보다는 현대 삶의 한 단면을 보여주고, 자신의 정체성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젊은 성인들이 겪는 어려움을 묘사하며, 사회와 자신의 가치와 기대가 항상 일치하지 않을 때 이들이 사회에 어떻게 적응하는지를 풀어내려고 하고 있다. 플라토닉한 이성 관계에 집중하는 이야기는 드물지만, (특히 국제 영화계에서) 나름의 가치가 있으며, 내게는 이 스토리가 지닌 비전 형성과 개성 넘치고 공감되는 (특히 김고은의) 연기가 이 영화의 익숙한 서사적 전개보다 더 돋보였다.

TIFF에 참석한 김고은과 <대도시의 사랑법> GV 현장
| 사진 출처 플러스엠

The sum of all of the aforementioned movies also indicates an embrace of an evolving view of Korean cinema, something chief programmer Lee confirms. She traveled to Korea in the spring, for the Jeonju Film Festival, and afterward set up a private screening with distributor Plus M, who had just locked picture on Love in the Big City. Blown away by its scope and story, she immediately envisioned it as a world premiere at TIFF. “It was something that I was interested in because (of) Kim Go-eun,” said Lee. “Her film Exhuma was one of the biggest box office hits coming out of Korea this year and I had programmed it at the TIFF Lightbox and it was a huge success for us. So I was really interested in that film because of her — and also it had been a critical literary hit as well — but when we first had that conversation with Plus M, they weren’t quite sure whether or not it was even going to be a theatrical release.”

올봄 전주국제영화제에 참석하기 위해 한국을 방문한 리는 배급사 플러스엠과 함께 <대도시의 사랑법>의 프라이빗 상영회에 참석했다. 이 영화가 다루는 범위와 스토리에 감동받은 리는 즉시 이 영화를 TIFF에서 세계 최초로 선보이는 것을 구상했다. 리는 "김고은 배우 때문에 관심이 생기긴 했다"며, "올해 한국 내 최대 흥행작으로 꼽히는 <파묘>를TIFF 라이트박스에서 상영했고, 관객들의 엄청난 반응을 이끌어냈다. 따라서 김고은 배우로 인해 영화에 매우 관심이 있었고, 또 영화의 원작 소설은 문학적으로도 큰 성공을 거둔 작품이라는 것도 한 이유였다. 하지만 처음 플러스엠과 논의했을 때, 그들은 극장 개봉 여부를 확신하지 못한 상태였다”고 말했다.

TIFF 수석 프로그래머 아니타 리 | 사진 출처 Norman Wong
TIFF 수석 프로그래머 아니타 리 | 사진 출처 Norman Wong

Celebrating the Diversity of Talent in Korean Cinema

Two other very high-profile films also left their mark at TIFF. Ryoo Seung-wan’sI, The Executioner (titled Veteran 2 domestically), which premiered in May at Cannes, won over fans of police procedurals with a slightly more straightforward and sober-minded, less humor-driven and edgier tone than its 2015 predecessor — all while still delivering convincing action sequences, of course. Meanwhile, acclaimed filmmaker Hong Sang-soo’s drama By the Stream, a wry character study and soft cultural critique of gender roles, made its North American premiere at TIFF, fresh off its August 16 bow at Locarno, where Kim Min-hee won the Best Performance Award.


한국영화의 다양한 재능을 인정하다

또 다른 두 편의 화제작 역시 TIFF에서 강한 인상을 남겼다. 지난 5월 프랑스 칸에서 초연된 류승완 감독의 <베테랑2>는 2015년의 전작보다 직설적이고 진지하며 유머가 덜 들어간 톤으로 경찰 수사물을 좋아하는 팬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물론 설득력 있는 액션 장면도 여전하다. 한편, 평론가들의 찬사를 받은 홍상수 감독의 <수유천>은 성 역할에 대한 풍자적 인물 연구와 부드러운 문화적 비판을 담은 작품으로, 8월 16일 스위스 로카르노에서 처음 공개된 이후 TIFF에서 북미 첫 상영을 가졌다. 김민희는 이 영화로 로카르노국제영화제 최우수 연기상을 수상했다.

<베테랑2>와 <수유천>| 사진 출처 TIFF

In many ways, these two filmmakers could be viewed as stylistic diametric opposites — Ryoo the hyper and kinetic “action kid” interested in genre thrills and surface catharsis, and Hong the peddler of far more contemplative offerings about quotidian dilemmas. Their shared presentation at TIFF speaks to the festival’s recognition of both different types of talent and differences in audience taste.

여러 면에서 이 두 감독의 스타일은 정반대라고 볼 수 있다. 류승완 감독은 장르적 쾌감과 표면적 카타르시스를 추구하는 ‘액션 키드’로, 역동적이고 에너지 넘치는 작품을 선보이는 반면, 홍상수 감독은 일상적인 딜레마를 다루며 훨씬 더 사색적인 작품을 선보이는 감독이다. 두 감독이 함께 TIFF에서 소개된 것은 이 영화제가 다양한 재능과 관객들의 취향의 차이를 인정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홍상수 감독 | 사진 출처 TIFF, 류승완 감독 | 사진 출처 한경DB

“Countries look at South Korea right now as a model of soft power success,” continued Lee, noting K-pop music and Parasite’ s groundbreaking Oscar wins. “I also feel that it’s an interesting time because Hollywood sees Korea not only as an industry that can produce content for a global audience, I think they’re also looking at Asian audiences as a market that they’re also very interested in. So this is also raising really interesting new challenges, I think, for the domestic industry in Korea, right? Because this is a lot of disruption. And what I’m understanding is that within all that, there are questions around whether Korean auteur cinema and independent films can continue to thrive, and if that landscape has shifted. So I think it’s a time of both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and it’ll be very interesting to see where Korean cinema goes.

리는 K-팝과 영화 <기생충>의 오스카상 수상을 사례로 언급하며 "지금 전 세계가 한국을 소프트 파워 성공 모델로 보고 있다"고 언급했다. “또 지금은 매우 흥미로운 시기로, 할리우드는 한국을 단순히 글로벌 관객을 겨냥한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대상으로만 보는 것이 아니라, 아시아 관객 자체를 매우 중요한 시장으로 보고 있다. 이는 한국 내 영화 산업에 매우 흥미롭고 새로운 난제를 던져주는 듯하다. 상당한 지각변동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의 거장 감독들의 작품과 독립영화가 계속해서 성공을 거둘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여러 질문이 있긴 하다. 지금은 어려움과 기회가 공존하는 시기이며, 한국영화가 어디로 나아갈지 지켜보는 일은 매우 흥미로울 것”이라고 덧붙였다.

The Thematic Achievements of “Korean Films”

Additionally, a number of other films set in Korea and/or about the Korean diaspora — international co-productions with mixed-language presentations — enjoyed their world premieres at TIFF. Set in Winnipeg, centerpiece presentation The Mother and the Bear unfolds over the course of several weeks leading up to Lunar New Year. After her daughter Sumi (Leere Park) slips and falls, and is put into a temporary medically-induced coma, overbearing mother Sara (Kim Ho-jung) flies in from Korea and moves into her apartment, proceeding to (unbeknownst to her) take over Sumi’s life.

한국계 영화들의 내용적, 산업적 성취

또한 한국을 배경으로 하거나 한국계 이민자를 다룬 여러 국제영화(혼합 언어 상영 포함)들이 공동 제작으로 TIFF에서 최초로 상영되었다. 위니펙을 배경으로 한 <더 마더 앤 더 베어>는 설 명절을 앞둔 몇 주 동안의 이야기를 다룬다. 딸 수미(이레 박)가 미끄러져 넘어지면서 일시적으로 유도된 의학적 혼수상태(MIC)에 빠지자, 딸을 과잉 보호하는 엄마인 사라(김호정)가 한국에서 날아와 수미의 아파트에 머물면서 (모르는 사이에) 수미의 삶을 장악해 나간다.

<더 마더 앤 더 베어(The Mother and the Bear)> | 사진 출처 TIFF

The third film from Chinese-Canadian director Johnny Ma, The Mother and the Bear aims to thread the needle between immigrant experience (it unfolds in a mixture of Korean and English), fish-out-of-water comedy, and the more universal story of a parent coming to terms with (and even being enlightened by) the realities of their child’s life as an adult. Executive produced by Pablo Larrain, the movie is a sweet if somewhat slight entry.

중국계 캐나다인 조니 마 감독의 세 번째 작품인 이 영화는 이민자로서의 경험(한국어와 영어가 섞인 대화로 전개됨), 물 바깥으로 나온 물고기 같은 희극, 자녀가 성인이 되었음을 받아들일 뿐만 아니라 심지어 깨달음마저 얻게 되는 부모의 보편적인 이야기를 엮어내려고 한다. 파블로 라라인(Pablo Larrain)이 총괄 제작한 이 영화는 다소 가볍지만 달콤한 매력을 지닌 작품이다.

More successful was Winter in Sokcho, the debut film from KoyaKamura. Based on a novel of the same name by French-Korean author Elisa Shua Dusapin, the movie tells the story of a young woman of mixed ethnicity, Soo-ha (Bella Kim), whose simple life is upended when a middle-aged French artist, Yan Kerrand (RoschdyZem), arrives on vacation, seeking inspiration. Cinema is full of examples of stories of mismatched pairs unlocking set aside feelings and learning from one another, and Winter in Sokcho, evocatively lensed by director of photography Elodie Tahtane, rather tenderly and beautifully mines this seam, with nice animated sequences helping to explore the creativity and fragile psyches of its characters.

다소 큰 성공을 거둔 코야 카무라 감독의 첫 장편영화 <속초의 겨울>도 있다. 프랑스계 한국 작가인 엘리사수아 뒤사팽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한 이 영화는 영감을 찾기 위해 휴가차 속초를 찾은 프랑스 중년 예술가 얀 케랑드(로슈디 젬)로 인해 혼혈 여성 수하(벨라 김)의 단순했던 삶이 뒤바뀌는 이야기를 그려낸다. 서로 어울리지 않는 두 인물이 함께하면서 감춰 왔던 감정을 풀어내며 서로에게서 배우는 이야기가 영화를 가득 채우고 있다. 촬영감독 엘로디 타타네는 감성적인 촬영으로 이들의 이야기를 부드럽고 아름답게 담아냈다. 또한 멋진 애니메이션 장면들은 등장인물의 창의성과 불안정한 심리를 표현하는 데 도움을 주고 있다.

<속초의 겨울(Winter in Sokcho)> | 사진 출처 TIFF

As far as other Korean movies at the festival, Tenderness, a narrative short from Helen Lee, made its world premiere, while Kim Soo-jin’s horror thriller Noise, about a young woman with a hearing impediment investigating her sister’s disappearance, screened in the “Industry Selects” section of TIFF’s accompanying film market, which is set to launch in full in 2026.

다양한 한국영화가 이번 영화제에서 소개되었다. 헬렌 리 감독의 내러티브 단편작 <텐더니스>가 월드 프리미어로 상영되었고, 청각 장애를 가진 여성이 실종된 여동생을 찾는 이야기를 그린 김수진 감독의 공포 스릴러 <노이즈>는 같은 기간에 열린 필름마켓의 인더스트리 셀렉트 부문에서 상영되었다. 이 필름마켓은2026년에 본격적으로 시작될 예정이다.

While technically an American film, Sue Lee’s documentary The Last of the Sea Women, about a diminishing group of women on Jeju Island, so-called “havenyeos,” who feed their families by free-diving to the ocean floor without oxygen tanks, screened in the nonfiction section, where it picked up the NETPAC Award. A rich celebration of a precious and endangered way of life, the movie shares a lot in common narratively, in a good way, with other tales of besieged micro-cultures grappling with climate change and other harsh elements of modernity. The Last of the Sea Women will be released to audiences worldwide via streamer Apple+, and no doubt additionally benefit in terms of publicity from the presence of Nobel Peace Prize-winning Malala Yousafzai as a producer.

엄밀하게 말하자면 미국영화이기는 하지만, 수 리 감독의 다큐멘터리 <마지막 해녀들>도 논픽션 부문에서 상영되어 아시아영화진흥기구(NETPAC)상을 수상했다. 점점 줄어들고 있는 제주 해녀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는 이 영화는 산소통 없이 바다로 들어가 해산물을 채취해 가족을 부양하는 해녀들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소중하지만 사라질 위기에 처한 삶의 방식을 기리는 이 영화는 서사적으로 기후변화와 현대 사회의 가혹한 요소들과 싸우는 미시 문화를 다루는 다른 이야기들과 많은 공통점을 가진다. <마지막 해녀들>은 애플+ 스트리밍을 통해 전 세계 관객들에게 공개될 예정이며, 노벨 평화상 수상자인 말랄라 유사프자이가 프로듀서로 참여한 점도 홍보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Anticipating New Narratives from Korea

In other news, this year’s TIFF also saw the debut of a new program that aims to foster, support, and champion Korean North American filmmakers looking to develop either their first or second feature film. The CJ+TIFF K-Story Fund, presented by CJ Cultural Foundation and TIFF in collaboration with the Korean Film Council, selected eight writers to participate in four months of story development workshops from CJ ENM. Selected for telling fresh, bold stories that express the complexities and nuances of Korean diasporic life with new perspectives, three projects from these writers — Arom Choi’s Soledad and Faith, Lloyd Lee Choi’s Prodigy, and Joanne Mony Park’sThe Windiest Day — were then awarded $10,000 apiece to support the development of their feature-length films. In helping to plant the seeds of their filmmaking careers, one can look out on the horizon and reasonably expect to see new generations of Korean filmmakers, with ever more diverse voices.

새롭게 등장할 한국의 이야기를 기대하며

한편, 올해 TIFF에서는 북미를 기반으로 활동 중인 한국계 영화 감독들의 첫 번째 또는 두 번째 장편영화 기획을 지원하는 펀딩 프로그램이 첫선을 보였다. CJ+TIFF K-Story Fund는 CJ문화재단과 TIFF, 한국영화진흥위원회가 협력해 만든 개발 지원 프로그램으로, 8명의 작가를 선정해 CJ ENM의 시나리오 개발 워크숍을 통해 4개월간 멘토링을 제공했다. 이 작가들은 한국계 이민자의 삶을 새로운 시각으로 복잡미묘하게 표현하며 신선하고 대담한 이야기를 들려줌으로써 선정되었으며, 그중 아롬 최의 <솔레다드와 페이스>, 로이드 리 최의 <프로디지>, 조엔 모니 팍의 <더 윈디스트 데이>가 각각 1만 달러의 지원금을 받아 장편영화 기획을 진행하게 되었다. 이 프로그램은 이들이 영화 제작을 시작하는 데 기여하면서, 앞으로 더욱 다양한 목소리를 가진 한국영화 제작자들이 새롭게 등장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To come full circle, it helps to view the Korean entries at this year’s TIFF in aggregate. While Harbin may not be, in and of itself, a top-shelf masterpiece that will rack up critical plaudits worldwide, the fact that it made its world premiere at an international festival in front of a rabid throng of admirers of not only Hyun Bin and Lee Dong-wook individually, but also Korean culture more broadly, speaks to an important fact. The status of a strong and enduring cultural exporter comes not from the status and stature of two or three grand auteurs, but by having the most representative totality of their lived experience and different ideas disseminated — widening the aperture of how they are seen by others. In that regard, the 2024 iteration of TIFF was a resounding success, showcasing a diversity of Korean talent and stories. It provides, in its own small and humble but notable way, another necessary step forward for the industry.

전반적인 내용을 파악하려면 올해 TIFF에 참가한 한국영화를 종합적으로 살펴보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다. <하얼빈>이 전 세계적으로 비평가들의 극찬을 받을 최고의 명작은 아닐지라도, 현빈과 이동욱의 인기를 넘어 한국 문화에 열성적인 팬들 모인 국제 영화제에서 이 영화가 세계 최초로 공개되었다는 사실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강력하고 지속적인 문화 수출국으로서의 위상은 두세 명 거장 감독의 명성에서 비롯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삶의 경험과 아이디어가 세계에 널리 전해져 더 많은 이들로 하여금 한국을 바라보는 시각을 넓히게 되는 데서 나온다. 그런 점에서 2024년의 TIFF는 한국의 다양한 인재와 이야기를 보여주며, 소박하지만 주목할 만한 방식으로 영화 산업계에 꼭 필요한 진전을 제시한다.

image
image
Highlights from TIFF Lightbox
-A Special Chat with Ha rbin Stars Hyun Bin and Lee Dong-wook

he biggest and most buzz-worthy Korean event at TIFF, though, was certainly a special event on September 9 at the TIFF Lightbox, featuring a conversation between Harbin stars Hyun and Lee.


TIFF 라이트박스의 하일라이트
- <하얼빈> 현빈, 이동욱 특별대담

TIFF에서 가장 큰 화제를 불러 모은 한국 관련 행사는 9월 9일 TIFF 라이트박스에서 열린 특별 행사로, <하얼빈>의 주연 배우 현빈과 이동욱의 특별 대담이었다.

In a wide-ranging chat interspersed with clips, lasting more than 75 minutes and honoring their various career touchstones, the Harbin actors held forth on lessons learned from TV work then applied to film roles (including improvisation and spontaneity), and praised the mingling of genres and quality of writing that allowed for Korean dramas to transcend cultural barriers.

두 배우의 주요 경력을 돌아보며 75분 넘게 광범위한 주제로 진행된 이 대담에서 두 배우는TV 작품 활동에서 얻은 교훈을 어떻게 자신의 배역에 즉흥적이고 자연스럽게 녹여낼 수 있었는지에 대해서 이야기를 나눴다. 또 한국 드라마가 장르 혼합과 뛰어난 대본을 바탕으로 어떻게 문화적 장벽을 넘어설 수 있었는지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Hyun talked about his work in Late Autumn and Confidential Assignment, and Lee his work in My Girl and Tale of the Nine Tailed, before the conversation pivoted to rise of streaming platforms, and how their work on shows like Crash Landing on You (Netflix) and A Shop for Killers (Disney+), respectively, had increased their global profiles.

현빈은 <만추>와 <공조>에서의 작업에 대해 이야기했고, 이동욱은 <마이걸>과 <구미호뎐>의 에피소드를 말했다. 이후 대화는 스트리밍 플랫폼의 부상으로 이어지며, <사랑의 불시착>(넷플릭스)과 <킬러들의 쇼핑몰>(디즈니+)과 같은 작품들이 이들의 글로벌 인지도를 어떻게 높였는지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었다.

When talk turned to Harbin, “I thought my significance was so small compared to the weight of this historical figure,” Hyun said. “So I started thinking about the offer again. I thought about how rare the opportunity was for an actor, and started feeling very thankful. I wanted to learn aspects of him that not a lot of people knew — his fear, his sense of responsibility and burden — and really wanted to encompass all these emotions in the film, so that the audience could get to know him better as well,” he said.

<하얼빈>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자, 현빈은 "역사적 인물의 무게에 비해 내 존재가 무척 작게 느껴졌다"고 말하며, "그래서 그 제안에 대해 다시 곰곰이 생각해보았다. 배우로서 위대한 인물을 연기할 기회가 많지 않을 듯해 수락했고, 매우 감사하게 생각한다. 사람들에게 알려지지 않은, 안중근 의사가 느꼈을 두려움과 책임감, 부담감 등을 알고 싶었고, 이러한 감정을 영화에 담아 관객들도 안중근 의사를 더 잘 이해할 수 있기를 바랐다"고 덧붙였다.